[경제] 삼성바이오 또 초대박…美제약사와 1조8000억원 계약
-
9회 연결
본문

인천 송도에 있는 삼성바이오로직스 4공장. 사진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미국 소재 제약사로부터 1조8000억원 규모의 대형 계약을 따냈다. 창사 이래 두 번째로 큰 규모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압박으로 불확실성이 커진 가운데 나온 성과다. 바이오업계는 이번 계약이 업계 전반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삼성바이오, 초대형 수주 성공
삼성바이오로직스는 9일 미국 소재 제약사와 12억9464만달러(약 1조8001억원) 규모 위탁생산(CMO)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계약 기간은 2029년 12월 31일까지로 고객사와 제품명은 비공개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난 1월 유럽 소재 제약사의 14억1011만 달러(약 2조747억원) 규모 CMO 계약을 맺으며 올해 첫 수주에 성공했다. 창사 이래 최대 규모 계약이었다. 이후 8개월 만에 대형계약을 또 체결하면서 연간누적 수주 금액 5조2435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수주 금액(5조4035억원)에 버금가는 성과다. 창사 이래 누적 수주 총액은 200억 달러를 넘어섰다.
바이오업계는 이번 수주 소식을 고무적으로 바라보고 있다. 의약품 관세 부과와 현지 공장 설립(리쇼어링) 압박으로 K바이오가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었기 때문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측은 “세계 최대 생산능력(78만4000L)과 글로벌 규제기관 승인 기록(트랙레코드 382건)에 기반한 안정적인 품질 역량이 관세 리스크를 넘어서는 차별적 경쟁력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롯데바이오, 美 공장 수주 성공

미국 뉴욕주에 위치한 롯데바이오로직스 시러큐스 공장 전경. 사진 롯데바이오로직스
미국 현지에 생산설비와 법인을 갖춘 기업들도 잇따라 생산계약 수주 성공 소식을 알리고 있다. 지난 2일 롯데바이오로직스는 미국 소재 바이오기업과 바이오의약품과 CMO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계약 기간은 2030년까지이며, 고객사와 제품명, 계약 규모는 비공개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지난 2023년 인수한 미국 시러큐스에 위치한 BMS의 바이오의약품 생산공장을 인수하며 현지 생산설비를 갖췄다. 회사 측은 “올해만 3건의 수주 계약에 성공했다”며 “2027년 가동 예정인 인천 송도 바이오 캠퍼스가 완공되면 한·미 생산설비를 단일 품질 시스템으로 운영하며 미국 내 제약·바이오 기업내 생산 계약에 더욱 적극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차바이오텍·셀트리온도 분주

인천 송도에 있는 셀트리온 본사. 사진 셀트리온
차바이오텍의 미국 자회사 마티카 바이오테크놀로지도 미국 현지업체와 생산 계약에 성공했다. 이날 마티카 바이오는 미국 유전자치료제 개발기업 서지엄 바이오사이언스와 아데노연관바이러스(AAV) 벡터 개발·생산에 대한 위탁개발생산(CDMO) 계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마티카 바이오는 차바이오텍이 미국 세포·유전자 치료제(CGT) 생산 시장 진출을 위해 설립한 기업이다. 2022년 당시 한국 기업으로는 유일하게 미국 텍사스주 칼리지스테이션에 CGT CDMO 시설을 준공했다. 회사 측은 “올해 상반기에 이미 100억 원 규모의 수주를 올렸다”며“연말까지 수주 목표액 200억 원을 초과 달성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셀트리온은 미국 현지 생산 시설 확보를 눈 앞에 뒀다. 지난 7월 글로벌 의약품 기업의 미국 공장 인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셀트리온은 현재 인수 본계약 체결을 앞두고 있다. 최종 인수 절차가 마무리되면 미국에서 판매 중인 주력 제품들을 현지에서 생산하며 의약품 관세를 피할 수 있게 된다. 셀트리온 측은 “이번 공장 인수를 마무리하면 경제성과 사업성을 갖춘 최적의 시설을 미국에서 확보하게 되는 셈”이라며 “물류비 절감, 원가율 감소 등을 통한 경쟁력 강화로 미국 판매 제품의 점유율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