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미 배터리공장 공사 차질 장기화…피해 눈덩이, 재가동 전망 ‘불투명’
-
4회 연결
본문

9일(현지시간)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 AFP=연합뉴스
미국 조지아주 HL-GA 배터리 공장에서 한국인 근로자 300여 명이 불법체류자로 단속된 사태 이후 국내 배터리 업체들의 현지 공장 건설이 사실상 중단되면서 피해가 커지고 있다. 업계는 공기 지연에 따른 매출 감소, 보조금 축소, 금융비와 고정비 증가 등 ‘눈덩이식 피해’가 불가피하다고 우려한다.
인력 귀국, 최소 관리만 유지
지난 4일 발생한 대규모 단속 사태로 인해 현지 출장자들은 서둘러 귀국했고, 추가 단속 우려로 신규 파견도 사실상 멈췄다. 현재는 L-1 비자를 보유한 주재원과 현지 인력이 최소한의 관리 업무만 이어가고 있어 공정 진척은 기대하기 어렵다.
LG에너지솔루션은 HL-GA를 비롯해 애리조나·미시간·오하이오 등 4곳에서 공장을 건설 중이나 일정 차질이 불가피하다. SK온 역시 주요 공장을 완공했지만 장비 기술 인력의 입국이 지연될 가능성이 커 실제 가동 시점이 늦춰질 수 있다.
맥킨지 분석에 따르면 50GWh 규모 배터리 생산 시설의 하루 생산 손실액은 400만 달러(약 55억 원)에 달한다. HL-GA 공장(30GWh)에 적용하면 하루 33억 원 규모의 피해가 발생하는 셈이다. 여기에 금융비와 고객사 신뢰 저하까지 더해지면 손실 규모는 더욱 커질 전망이다.

9일 미국 당국의 이민단속으로 체포된 현대차-LG엔솔 배터리공장 건설 현장 직원들이 수감돼 있는 조지아주 포크스턴의 이민세관단속국(ICE) 구금시설 모습. AFP=연합뉴스
비자 절차 개선 난항, 인력 충원 부담↑
업계 불안을 해소하려면 비자 제도 개선이 시급하지만 전망은 불투명하다. 한국 정부는 오랫동안 취업비자(E-4) 쿼터 신설을 요구했으나 미국 의회를 넘지 못했고, 상용 비자(B-1)의 적용 범위 명확화 요구도 반이민 정서 탓에 진전이 더딘 상황이다. 첨단 장비 대부분이 한국·일본산인 탓에 현지 인력으로 대체하기도 어렵다.
이번 단속으로 구금된 인원에는 LG에너지솔루션 직원 47명과 일본인 3명이 포함돼 있었고, 현대엔지니어링 협력사 직원 156명은 공장 내부 인테리어 공정을 담당하고 있었다. 업계는 “대규모 공사에는 한국인 관리자가 필수적이며 미국인만으로는 현장 운영이 불가능하다”고 토로한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인력 파견 조건으로 현지 인력 훈련을 내건 점도 부담 요인으로 작용한다. LG에너지솔루션은 대체 인력 파견을 검토 중이나, 비자 발급 절차와 충원 과정까지 고려하면 공정 재개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사업 불확실성 확대
이번 사태로 미국 파견 기피 현상이 확산하면 인력 수급과 비용 부담은 더욱 악화할 가능성이 크다. 업계 관계자는 “비자 절차 개선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야 한다”며 “양국 협의가 원활히 진행돼 불확실성을 조속히 해소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공장이 정상화되지 않으면 기업들의 AMPC(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 혜택도 줄어든다.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해 영업이익 5754억 원보다 훨씬 많은 1조4000억 원을 AMPC로 수령했는데, 이번 프로젝트 지연이 내년 수익 전망에도 직접적인 타격을 줄 것으로 보인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