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美 고용, 수정하니 증가 폭 반토막…기준금리 인하 유력

본문

미국의 고용 증가 폭이 당초 발표의 절반 수준으로 크게 하향 조정됐다. 기존에 파악한 것보다 고용 상황이 더 좋지 않다는 의미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에 무게 추가 더 기울어졌다.

9일(현지시간) 미 노동부는 올해 3월까지 집계한 비농업 일자리 증가 폭을 기존 발표치(180만 명)에서 91만1000명으로 하향 조정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4월부터 올해 3월까지 매달 약 7만6000명씩 일자리가 덜 늘었다는 의미다. 하향 조정 폭은 2002년 이후 최대 규모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3월 이후 상당한 약세 조짐을 보였던 고용 시장의 우려를 키울 수 있다”고 분석했다.

17574959270605.jpg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 집무실에서 ‘BLS, 바이든 일자리 150만 개 과대계상’이라는 제목의 자료판을 들어 보이고 있다. 옆에는 헤리티지재단 선임연구원 스티브 무어. 로이터=연합뉴스

이번 수정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통계의 정확성을 문제 삼아 노동통계국(BLS) 국장을 해임한 이후에 발표됐다. 이날 백악관 대변인 캐롤라인 레빗은 “바로 이것이 BLS 데이터에 대한 신뢰와 확신을 회복하기 위해 새로운 리더십이 필요한 이유”라고 강조했다.

통계 수정 폭이 컸던 것은 코로나19 이후로 크게 달라진 경제 상황이 꼽힌다. 투자은행 UBS의 이코노미스트들은 “코로나 팬데믹 여파로 노동통계국의 ‘생성ㆍ소멸’ 모델이 따라잡기 어려운 왜곡 현상이 발생했다”고 짚었다. 경제의 부침에 따라 사업체가 생기고 사라지는데, 이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로이터는 “노동통계국은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기에 신규 사업체가 포함되지 않고, 조사에 응하지 않는 고용주의 폐업 여부를 신속하게 판단할 수 없다”고 전했다. 또 불법 이민 노동자를 파악하는데도 어려움이 있었을 거란 분석이다.

시장에선 오는 16~17일(현지시간) 예정된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금리를 낮출 거라고 보고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 페드워치에 따르면 시장은 0.25%포인트 금리 인하 가능성을 91.7%로 예상했다. BMO 캐피털마켓의 살 과티에리는 “노동 시장은 처음 추산했던 것보다 상당히 나빠졌으며, Fed가 다음 주에 금리를 인하해야 할 또 다른 이유가 생겼다”고 봤다. KB증권 김일혁 연구원도 “기준금리 인하 사이클이 ‘보험성(선제 조치)’의 성격을 띄기 위한 조건이 강화되는 중”이라고 짚었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소셜미디어에 “무능이 이론적 독립성보다 더 큰 문제”라며 Fed를 압박했다.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도 “트럼프 대통령은 알려진 것보다 훨씬 더 나쁜 경제 상황을 물려받았으며, Fed가 높은 금리로 성장을 억누르고 있다는 그의 발언은 옳다”고 힘을 보탰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192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