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WP “한국인 300명 체포로 美 일자리 수천개 사라질 것”
-
6회 연결
본문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과 국토안보수사국(HSI) 등 소속 요원들이 4일(현지시간) 현대자동차와 LG에너지솔루션이 조지아주 서베나에 공동으로 건설중인 배터리 공장에서 불법체류자 단속을 벌여 475명을 단속했다. 이 중 300여명이 한국인으로 파악된다. 사진은 이날 단속 요원들이 현장 직원들의 몸과 다리를 수갑과 쇠사슬로 묶고 있는 모습. 사진 ICE 동영상 캡처
미국 조지아주(州)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한국인 근로자 300여 명이 구금됐다. 이를 두고 트럼프 행정부가 내세운 ‘강력한 이민 단속’이 오히려 ‘제조업 부활 정책’의 발목을 잡으며, 미국 내 수천 개 일자리가 위태로워질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워싱턴포스트(WP)는 10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조지아주 노동자 보호를 이유로 한국인 300명을 체포했지만, 이로 인해 수천 개의 제조업 일자리가 사라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현지 전문가들은 배터리 공장 건설에 필수적인 고도의 전문 인력이 막히면서 프로젝트 전체가 위기에 처했다고 지적한다. 지오반니 페리 UC데이비스 교수는 “기업들이 미국 투자를 더 신중하게 할 것”이라며 “관세 정책으로 유치한 공장을 인력 문제로 스스로 막고 있다”고 했다.
엘런 휴스-크롬윅 전 포드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전기차 배터리 공장은 기존 자동차 공정보다 훨씬 복잡하다”며 “외국인 숙련공이 빠진 미국 제조업 부활은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크리스 니콜스 재생에너지 위원회 CEO도 “수백 명의 특수 엔지니어를 몇 달 만에 현지에서 구할 수 없다”고 말했다.
체포된 근로자들의 변호인 찰스 쿡은 “미국은 배터리 생산 경험이 없어 한국 기업을 불렀다”며 “설비와 기술자까지 함께 데려오지 않고선 공장 건설이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이번 사태는 한·미 경제 협력에도 부담이 되고 있다. 한국은 상호 관세 인하 대가로 3500억 달러 규모의 미국 투자를 약속했지만, WP는 “이번 단속이 한국 기업과 정부에 불안감을 안겼다”고 평가했다. 태미 오버비 전 미 상공회의소 부회장은 “트럼프 행정부가 혼란스러운 메시지를 보내 아시아 기업들의 투자 의지를 식게 했다”고 강조했다.
정치권 비판도 거세다. 미 의회 아시아태평양계 코커스(CAPAC) 소속 민주당 의원들은 공동성명에서 “위험한 범죄자 대신 일하는 이민자를 겨냥했다”고 지적했다. 한국계 앤디 김, 데이브 민 의원 등 20명이 동참했다.
76억 달러 규모 공장 건설은 불투명해졌다. 존 레티에리 경제혁신그룹 대표는 “트럼프 대통령이 과도한 단속 퍼포먼스로 투자와 일자리를 잃고 있다”고 말했다.
LG에너지솔루션에 따르면 당시 이민세관단속국(ICE)과 국토안보수사국(HSI)이 체포한 475명에는 300여명의 한국인 이외에 일본과 중국의 협력업체 파견 직원도 포함됐으며 일본인 2명은 전기자동차(EV)용 전기의 전극공정용 장치 제조업체 소속이다.
중국 배터리 제조장치 업체에 소속된 중국인도 8∼9명가량 구금돼있다고 한다. 일본 정부 당국자는 지난 7일 일본인 노동자들을 접견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전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