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청년 취업 22만명 줄었다, 외환위기 후 최악
-
4회 연결
본문
지난달 고용동향 보니
지난달 고용률이 통계 집계 이후 8월 기준으로는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60세 이상 고령층의 일자리가 늘어난 결과다. 반면 15~29세 청년층 고용률은 45.1%로 전년 동월 대비 1.6%포인트 하락했다. 청년층 고용률은 지난해 5월부터 16개월 연속 감소 중이다. 정부는 청년 대상 구직촉진수당을 월 50만원에서 60만원으로 인상하는 등 대책을 발표했다.
10일 통계청 ‘8월 고용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는 2896만7000명으로 전년보다 16만6000명이 늘었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3.3%로 같은 기간 0.1%포인트 상승했다. 1982년 관련 통계를 작성한 후 8월 기준으로는 가장 높다.
하지만 연령별로 온도 차가 컸다. 청년층(15~29세) 취업자는 전년보다 21만9000명이 줄었다. 8월 기준으로는 외환위기였던 1998년 8월(-69만5000명) 이후 가장 큰 감소폭이다. 인구 감소만으로는 설명이 안 된다. 1년 새 청년층 인구가 줄어든 것(-19만1000명)보다 훨씬 많은 청년 일자리가 사라졌다.
반면 60대 이상 취업자는 40만1000명이 늘어나며 취업자 수 증가를 이끌었다. 60세 이상 고용률(47.9%)이 청년층 고용률(45.1%)을 추월할 정도다. 공미숙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경력직 선호가 강화되고 수시 채용으로 가면서 청년층에 불리하게 작용하고 있다”고 해석했다.
고령층 고용 증가는 2차 베이비붐 세대(1964~1974년 출생)가 60대에 접어들기 시작하며 본격화되고 있다. ‘노노(老老)케어’ 등 돌봄 서비스가 확대되며 관련 일자리도 늘어나고 있다. 지난달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취업자는 30만4000명이 증가했다.
하지만 청년층이 선호하는 제조업은 부진하다. 제조업 취업자는 6만1000명이 줄며 14개월째 감소했다. 장주성 기재부 인력정책과장은 “소비·기업심리가 개선되는 플러스 요인과 대미 통상 불확실성의 마이너스 요인이 혼재돼 있다”고 말했다.
취업 상태가 아닌데도 구직 활동을 하지 않는 ‘쉬었음’ 인구는 264만1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7만3000명이 늘었다. 특히 30대 ‘쉬었음’ 인구는 32만8000명으로 1년 전보다 1만9000명 증가했다. 2003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8월 기준으로는 역대 가장 많다. 20대 ‘쉬었음’ 인구는 43만5000명으로 여전히 많긴 하지만 전년 동월 대비 3000명 줄었다.
정부는 이날 ‘쉬었음’ 청년에 대한 대책인 ‘일자리 첫 걸음제’를 발표했다. 청년을 ▶잠시 멈춘 청년 ▶일하고 싶은 청년 ▶일하는 청년으로 나눠 맞춤형 지원에 나선다. 구직 청년에 대한 지원도 확대한다. AI 인재 3단계 트랙(훈련→일경험→채용)을 신설해 2026년까지 1만 명을 교육하고 2000명을 채용과 연계한다. 구직 기간 생계 부담을 덜어 주기 위해 구직촉진수당도 월 50만원에서 60만원으로 인상한다. 이와 함께 자발적 이직 청년에 대한 구직급여(실업급여) 도입, ‘청년미래적금’ 신설,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인센티브 확대 등 정책을 범부처 차원에서 진행한다.
각종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청년 연령 상한을 29세에서 34세로 높이는 등 법·제도 정비도 추진한다. 이날 일자리전담반(TF) 회의를 주재한 이형일 기재부 1차관은 “인공지능(AI) 대전환과 초혁신경제를 통해 청년 선호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이 핵심 열쇠”라고 말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