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학생 자살률 5년 내 절반으로” 서울 전 학교에 상담교사 배치
-
5회 연결
본문
서울의 한 고교에 재학 중인 A양은 수차례 자해 끝에 입원이 필요하다는 의사 진단을 받았다. 부모는 입원 가능한 병원을 수소문했지만 마땅한 곳을 찾을 수 없었다. 학교 상담교사를 통해 상황을 파악한 서울시교육청 서부교육지원청이 나서 청소년 병동이 있는 병원을 찾아 입원을 도왔다. 3주간 입원 치료를 받은 A양은 이제 학교에 복귀할만큼 상태가 호전됐다.
‘세계 자살 예방의 날’인 10일, 서울교육청이 마음 건강 위기에 놓인 청소년을 보호하기 위한 종합 계획을 내놨다. 정근식 서울시교육감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코로나 19 이후 학생들의 마음지표가 악화됐고, 전문가 도움이 시급한 학생 비율도 증가하고 있다”며 “학생 자살률을 향후 5년 이내 절반으로 낮추기 위해 관계 부처가 방안을 고민했다”고 밝혔다. 교육청에 따르면 지난해 자살한 서울 학생 수는 전년보다 111%, 코로나 19 유행 초인 2020년에 비해 182% 늘었다. 자살 시도·자해 학생도 전년 대비 113%, 2020년에 비해 10배 이상(1066%) 급증했다. 교육청 관계자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메시지에 상처를 받고 또래의 자해를 모방하는 학생이 부쩍 늘었다”고 전했다.
계획에 따르면 서울교육청은 내년 9월 완공될 ‘마음치유학교’를 통해 위기 학생에게 치료와 학습을 병행해 학교 복귀를 도울 예정이다. 대안교육위탁교육 기관으로 운영되는데, 최대 45명을 수용한다. 아울러 관내 모든 초·중·고에 전문상담교사를 배치한다. 그간 주로 중·고교에 배치했지만, 최근 초등학교에도 위기 학생이 늘고 있는 점을 고려해 확대 배치한다. 향후 5년간 매년 50명 이상의 상담교사를 새로 채용한다.
또한 학생이 언제 어디서나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서울학생통합콜센터’를 운영한다. 위기 학생과 담당 학교를 직접 연결하지 못한다는 지적을 받은 기존 콜센터와 달리 통합콜센터는 24시간 운영하면서, 지역교육청과 상담 내용을 공유한다. 위기 신호가 접수되면 ‘48시간 내 첫 개입’을 최소 기준으로 삼되, 긴급 상황엔 112·119에 즉각 출동을 요청하거나 응급구조단을 1시간 이내 보낸다.
아울러 위기 예방, 사후 관리를 위해 11개 지원청과 거점병원을 1대 1로 연결하고 정신건강 전문가와 학교를 촘촘하게 연결할 계획이다. 자살 시도 학생, 자해 학생의 치료비도 최대 270만원까지 지원한다. 정 교육감은 “학교-교육지원청-지역의 통합 체계를 통해 교실에서 시작되는 작은 경고 신호를 잡아 48시간 안에 도움으로 이어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