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서울 상위 20%·하위 20% 소득격차 4.6배…평균소득 6423만원
-
3회 연결
본문

챗GPT 생성 이미지
서울의 고소득 가구와 저소득 가구의 소득 격차가 4.6배에 달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서울연구원이 발표한 ‘2024년 서울복지실태조사’에 따르면, 소득 상위 20% 가구의 평균 총소득은 1억2481만원으로, 하위 20% 가구의 평균 소득 2704만원의 4.6배에 달했다.
이번 조사는 2024년 9월 2일부터 10월 31일까지 서울에 거주하는 3004가구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전체 표본의 평균 소득은 6423만원으로, 중위소득 5800만원보다 높게 나타나 저소득층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많다는 분석이 제시됐다. 다만 연구원은 “저소득 집단이 적게 표집됐을 가능성이 있어 해석에 유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생활 빈곤·박탈감 여전…70대 이상에서 심각
조사에 따르면 응답 가구의 7.3%는 집세·공과금·공교육비 미납, 난방 불능, 병원 미수진 등 결핍을 경험한 적이 있었다. 또 2.3%는 휴가나 균형 잡힌 식사, 여가 활동이 불가능한 수준으로 사회적·물질적 박탈을 겪어 ‘빈곤층’으로 분류됐다.
박탈률은 특히 70대 이상 응답자에서 5.3%로 높았다.
월평균 생활비 지출은 비빈곤층이 286만원, 빈곤층이 115만원으로 2.3배 차이가 났다. 반면 의료비 지출은 빈곤층이 4만2천원으로, 비빈곤층 3만5천원보다 많았다. 의료비 부담을 느낀 비율도 빈곤층이 37.0%로, 비빈곤층 16.7%보다 높았다.
자산·부채 현황…부채 부담 심각
가구당 평균 자산은 6억원, 평균 부채는 4500만원, 순자산은 5억6천만원으로 나타났다. 전체 가구의 38.9%가 부채를 보유했으며, 가구당 평균 부채 금액은 1억1565만원이었다. 부채를 가진 가구 중 58.3%가 상환 부담을 호소했다.
주택가격 부담을 의미하는 PIR(가구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은 평균 11.4배였고, 임차가구의 RIR(연소득 대비 임대료 비율)은 평균 37.7%로 조사돼 주거비 부담이 여전히 높은 수준임이 드러났다.
마음건강·사회적 관계도 취약
응답자의 23.6%가 최근 1년간 우울 증상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연령대별로는 노년층이 32.6%로 가장 높았다.
또 7.7%는 사회적 고립감을, 46.6%는 외로움을 느낀다고 답했으며, 노년층의 외로움 체감 비율이 62.0%로 가장 높았다.
15∼29세 청년층 가운데 취업·교육·훈련에 모두 참여하지 않는 ‘니트(NEET)족’ 비율은 4.6%로, 2022년 조사(3.6%)보다 상승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