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대기업 63% "하반기 신규채용 없거나 미정"…작년보다 5.3%p 증가

본문

17575607325287.jpg

지난 10일 오후 부산 남구 국립부경대에서 열린 취업박람회 'PKNU 드림 잡 페어'에서 취업 준비생들이 기업인사 담당자들과 채용 상담하고 있다. 연합뉴스

올해 하반기 대기업 채용시장이 지난해보다 더 위축될 것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가 매출액 500대 기업 가운데 121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62.8%가 하반기 신규채용 계획이 없거나 미정이라고 답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57.5%보다 5.3%포인트 오른 수치다.

세부적으로는 "미정"이 38.0%로 2.0%포인트 줄었으나, "없음"이 24.8%로 7.3%포인트 상승했다.

채용 축소 늘고, 확대는 제한적

채용 계획을 수립한 기업 가운데 37.8%는 작년보다 규모를 줄이겠다고 했고, 늘리겠다는 응답은 24.4%였다. 유지하겠다는 답변도 37.8%였다.

특히 채용을 축소하겠다는 기업은 지난해보다 20.2%포인트 증가했으며, 확대하겠다는 기업도 6.8%포인트 늘었다.

한경협은 "채용 계획 자체가 없는 기업이 크게 늘어난 점과 채용 규모 축소 기업이 2배 이상 증가한 점에서 전반적인 시장 위축이 우려된다"고 분석했다.

업종별 채용 위축 뚜렷

업종별로는 건설·토목(83.3%), 식료품(70.0%), 철강·금속(69.2%), 석유화학·제품(68.7%) 순으로 채용 계획이 없거나 미정인 비율이 높았다.

채용을 하지 않거나 줄이겠다는 이유로는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와 수익성 악화에 따른 긴축 경영"(56.2%)이 가장 많았다. 이어 "원자재·인건비 상승"(12.5%), "글로벌 경기침체와 고환율"(9.4%)이 뒤를 이었다.

채용을 확대하려는 기업은 "미래 인재 확보"(45.4%), "신산업 및 신규 직군 수요 증가"(36.4%), "기존 인력 이탈 보충"(18.2%)을 이유로 꼽았다.

그러나 채용 과정에서는 "적합한 인재 부족"(29.4%), "조기 퇴사"(24.0%), "과정 중 이탈"(19.3%), "허수 지원자"(14.7%) 등이 어려움으로 지적됐다. 특히 연구·개발직(35.9%)과 전문·기술직(22.3%)에서 인력 확보 난항이 크다고 답했다.

정책과제는 '규제 완화·투자 확대'

기업들은 대졸 신규채용 확대를 위해 필요한 정책으로 "규제 완화를 통한 투자·고용 확대"(38.9%), "고용 증가 기업 인센티브 확대"(22.3%), "신산업 성장동력 지원"(10.7%), "구직자 역량과 기업 수요 간 미스매치 해소"(10.7%) 등을 꼽았다.

한경협 이상호 경제산업본부장은 "전통 산업은 활력을 잃었고 신산업도 고용을 확대할 만큼 경쟁력을 갖추지 못한 상황"이라며 "정부와 국회가 규제 완화와 투자 지원으로 기업의 고용 여력을 뒷받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413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