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좁아진 하반기 채용문 '한파'…대기업 10곳 중 6곳 “없거나 …
-
16회 연결
본문

10일 서울 시내 한 대학교 취업 게시판 앞으로 학생들이 오가고 있다. 연합뉴스
올해 하반기 대기업 채용문이 좁아진다.
11일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매출 상위 500대 기업(121개 응답)을 설문한 결과 62.8%가 올해 하반기 신규 채용 계획이 없거나 미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응답 비중이 전년 동기(57.5%) 대비 5.3%포인트 올랐다. 신규 채용 계획이 없는 기업이 24.8%, 미정인 기업이 38.0%로 집계됐다.
채용 계획을 세운 기업 중 지난해보다 규모를 줄이겠다는 기업은 37.8%, 늘리겠다는 기업은 24.4%였다.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한다는 기업은 37.8%였다. 채용을 줄이겠다는 기업은 1년 전보다 20.2%포인트 늘어난 반면, 늘리겠다는 기업은 6.8%포인트 증가하는 데 그쳤다.
업종별로는 건설·토목(83.3%), 식료품(70.0%), 철강·금속(69.2%), 석유화학(68.7%) 등에서 채용 계획이 없거나 미정인 비중이 높았다. 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직군으로는 연구·개발직(35.9%), 전문·기술직(22.3%), 생산·현장직(15.9%)을 꼽았다.
신규 채용을 늘리지 않겠다고 답한 이유로는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 및 기업 수익성 악화 대응을 위한 경영 긴축(56.2%)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원자재 가격 상승, 인건비 증가 등 비용 부담 증대(12.5%), 글로벌 경기 침체 장기화, 고환율 등으로 인한 경기 부진(9.4%) 순이었다.
채용 시 애로는 요구 수준에 부합하는 인재 찾기 어려움(29.4%), 채용 후 조기 퇴사자 발생(24.0%), 채용 과정에서 이탈자 발생(19.3%), 허수(虛數) 지원자(14.7%)를 꼽았다. 채용 확대를 위한 정부 과제로는 규제 완화를 통한 기업 투자·고용 확대 유도(38.9%)를 가장 많이 꼽았다.
청년이 선호하는 대기업 취업 문이 좁아지는 만큼 일자리 상황판도 나빠질 전망이다. 통계청의 8월 고용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15~29세 청년 고용률은 45.1%로 나타났다. 1년 전보다 1.6%포인트 줄었다.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장기간(16개월) 하락세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경기가 부진한 가운데 기업은 연구기술·경력직을 선호하고, 청년은 지방 근무를 꺼리는 등 ‘취업 미스매치(불일치)’가 이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