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年1억2000만원 벌면 서울 상위 20%…하위 20%보다 4.6배 많아
-
12회 연결
본문

서울 남산을 찾은 관광객이 도심 아파트 단지를 바라보고 있다. [뉴스1]
서울에 거주하는 고소득 가구와 저소득 가구의 소득 격차가 4.6배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서울연구원은 11일 ‘2024년 서울복지실태조사’ 연구보고서를 발표했다.
서울연구원 서울복지실태조사

서울 송파구 아파트 단지와 오른쪽 건물 외벽 유리에 비친 강북 자양동 아파트 단지 모습. [뉴스1]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서울에서 소득이 상위 20%인 가구(소득분포 5분위)의 평균 총소득은 1억2481만원으로 나타났다. 소득 하위 20%인 가구(소득분포 1분위)의 2704만원과 비교하면 4.6배다.
표본집단 평균 총소득은 6423만원이었다. 서울연구원은 “평균값이 중위소득(5800만원)보다 높다는 통계의 의미는 저소득층 비중이 더 크다는 점을 반영한다”며 “다만 저소득 집단이 적게 표집됐을 가능성이 있어 해석에 유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서울 빈곤층과 비빈공층 가구 현황. 그래픽=김영옥 기자
부채 중에서는 집값 부담이 컸다. 주거비 부담을 의미하는 가구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PIR)은 평균 11.4배를 기록했다. PIR은 한 가구가 몇 년간 연 소득을 저축해야 주택을 구매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 지표다. 쉽게 말해 서울시민은 평균적으로 월급을 단 한 푼도 쓰지 않고 11.4년 동안 모으면 평균적인 가격의 내 집을 서울에 마련할 수 있다는 뜻이다.
임차 가구의 주거비 부담을 나타내는 1년 소득 대비 주거임대료의 배수(RIR)는 평균 37.7%다. RIR은 가구의 연간 소득 대비 연간 임대료가 차지하는 비율이다. 서울에서 집을 임대하고 있는 가구의 경우 평균적으로 100만원을 벌면 이 중 37만7000원 정도를 임대료로 지불하고 있다는 뜻이다.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 원각사 노인무료급식소에 어르신들이 점심식사를 위해 줄지어 서 있다. [연합뉴스]
가구당 자산 6억원…부채는 4500만원

서울시가 신혼부부 출산율을 끌어올리기 위해 자녀를 출산하는 무주택가구에 주거비를 지원한다. [사진 서울시]
이번 조사에서는 서울 시민의 생활 결핍과 빈곤 실태도 드러났다. 응답자의 7.3%는 경제적 이유로 집세·공과금을 내지 못하거나, 겨울철 난방을 포기하고, 아플 때 병원에 가지 못했던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서울 시민의 2.3%는 휴가·여가 활동이나 균형 잡힌 식사조차 어려운 상태로 ‘빈곤층’으로 분류됐다. 70대 이상에서 빈곤 비율이 5.3%로 높은 편이다.
생활비 지출을 비교해도 뚜렷한 격차가 드러났다. 빈곤층으로 분류하지 않은 시민(비빈곤층)의 월평균 생활비는 286만원으로, 빈곤층(115만원)의 2.3배였다. 반대로 월평균 의료비는 빈곤층이 4만2000원으로 비빈곤층(3만5000원)보다 많았다. 의료비 부담을 호소한 비율 역시 빈곤층(37.0%)이 비빈곤층(16.7%)보다 두 배 이상 높다.
마음건강 영역에선, 최근 1년간 우울 증상을 느낀 응답자가 23.6%였다. 연령대별로 보면 노년층 비율이 가장 높았고(32.6%), 중장년층(25.8%)이 뒤를 이었다. 15∼29세 청년 중 취업·교육·훈련을 모두 받지 않는 ‘니트(NEET)족’은 4.6%로 2022년(3.6%)보다 비율이 높아졌다.
이번에 서울시가 발표한 서울복지실태조사는 서울연구원이 2024년 9월 2일부터 10월 31일까지 두 달간 서울에 거주하는 3004가구를 조사한 결과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