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세종보 개방 뒤 지하수 개발 급증"…세종시민 "왜 외지인이 보…

본문

정부가 세종보(湺) 가동을 중단한 뒤 지하수위 영향 범위 내에 있는 지역에서 농업용 관정 개발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17575716317952.jpg

금강 세종보 전경. 세종보는 2018년 개방한뒤 방치돼왔으며 주민들은 물 부족을 호소하고 있다. 중앙포토

세종보 가동 중단 후 지하수 개발 급증 

11일 세종시에 따르면 세종보 수위 영향 범위 내에 있는 금남면 지역(2㎞ 이내)의 지하수 개발 신고는 2018년 보 가동을 중단한 후 30% 증가했다. 2012년 세종보를 가동한 이후 1100여건에 머물던 지하수 개발 신고는 2018년 전면 개방(가동중단) 후 1500여건으로 증가했다. 2021년부터 1900여건으로 증가한 후 지난해 처음으로 2000건(누계)을 돌파했다.

같은 기간 12㎞ 떨어진 세종보 수위 영향 밖에 있는 부강면의 농업용 지하수 개발도 16% 증가했다. 세종시 관계자는 “지하수 개발이 급증한 것은 세종보 개방 이후 인근 지하수위가 낮아져 사용할 물이 부족해졌기 때문인 것 같다”고 진단했다. 2018년 세종보를 전면 개방하면서 금강 수위가 0.2m 낮아졌고, 인근 지역 지하수위도 덩달아 내려갔다고 한다.

17575716320067.jpg

세종보 가동 추진 주민협의체가 세종보 가동을 외치고 있다. 사진 독자

금남면 지역 지하수위는 2020년 -2.4m에서 매년 감소해 2023년엔 -3.4m 줄었다. 3년 사이 지하수위가 1m나 내려간 셈이다. 한국수자원공사는 최근 비가 적게 내리자 대청댐에서 농업용수 하루 방류량을 80만∼90만t 줄였다.

세종시 농민들도 물 부족을 호소하고 있다. 세종시 연동면 합강리·명학리·응암리·노송리·예향리와 충북 청주시 강내면 당곡리 등 금강 주변 400여가구 농민은 “농업용수가 부족해 어려움이 많다”며 “논이 말라가고 밭은 타들어 간다”고 말했다.

환경부 장관 "세종보 가동 중단" 밝혀 

이런 가운데 김성환 환경부 장관은 11일 금강 세종보 상류에서 농성 중인 환경단체 회원들을 찾아 ‘세종보 재가동 중단’과 ‘4대강 재자연화’를 약속했다. 김성환 장관은 “윤석열 정부의 ‘금강·영산강 보 처리방안 취소 결정’은 성급한 결정이었으며, 조속한 시일 내에 4대강 재자연화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성환 장관은 지난 7월에도 이들을 찾아 "강은 흘러야 한다"며 재자연화 추진 의지를 시사했다. 이에 환경단체는 농성을 중단하기로 했다고 환경부는 밝혔다. 환경단체는 지난해 4월 29일부터 이날까지 500일간 세종보 가동 중단을 주장하며 천막농성을 해왔다.

17575716321977.jpg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지난 7월 24일 세종시 한솔동에서 금강 세종보 재가동 중단을 요구하며 농성 중인 환경단체 관계자들과 만나 대화하고 있다. 뉴스1

세종시민들 "왜 외지인들이 보 가동을 막냐" 항의 

이날 세종보 가동 찬성을 주장하는 주민들은 환경단체에 "주민들은 물이 부족해 피눈물을 흘리는데 왜 세종시민도 아닌 외지인이 세종보 가동을 막느냐"며 항의하기도 했다. 세종보 가동 추진 주민협의체는 “세종보를 가동해 도시 경관을 살리고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세종시 금강 주변에 거주하는 주민으로 구성된 주민협의체는 “세종보를 가동해 금강도 서울 한강처럼 멋진 경관을 유지하고, 가뭄 대비 용수도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협의체는 지난 4월 세종보 가동을 원하는 시민 4000여명의 서명을 받아 환경부에 제출하기도 했다.

문재인 정부는 생태계를 복원한다며 2018년 1월 세종보를 개방하고, 3년 뒤 국가물관리위원회를 통해 보 해체를 결정했다. 이어 윤석열 정부는 30억원을 들여 세종보를 수리했다. 세종보는 콘크리트로 만든 고정보(125m) 외에 수위를 조절할 수 있는 가동보 3개(223m)로 이뤄진 다기능 보다. 세종보는 노무현 정부가 행정수도를 건설하면서 계획했고, 이명박 정부 때인 2009년 완공됐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426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