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빵!!!!!!" 분노만 남긴 서부간선 공사…10억 헛돈만 날렸다 [르포]

본문

17576219519975.jpg

10일 오전 서울 양천구 서부간선도로 오목교 지하차도 앞 모습. 지하차도가 통제되자 신호를 대기하는 차량이 길게 늘어서 있다. 김민욱 기자

10일 오전 8시15분쯤 서울 영등포구 성산대교 남단. 서부간선도로 시작점부터 출근길 정체가 시작됐다. 4개 차선이었던 도로가 사실상 절반으로 줄면서 ‘병목 현상’이 빚어졌다. 나머지 2개 차선은 2800원(편도·소형차 기준)의 통행료를 받는 민자도로인 서부간선‘지하’도로 진입로다. 성산대교를 빠져나온 여러 대의 차량들이 이 진입로 옆 차선으로 변경하며 서부간선도로로 합류했다.

서부간선도로를 택한 차들은 제 속도를 내지 못했다. ‘가다 서다’, ‘가다 서다’를 반복했다. 이날 기자가 탄 택시의 50대 기사는 차가 도로 위에서 꼼짝 않자 한숨을 쉬더니 “너무 막힌다” 며 고개를 절레절레 저었다. 목동운동장 쪽으로 우회도로를 안내하는 표지판이 중간에 설치돼 있었으나 직진 행렬은 쭉 이어졌다. 이 기사는 “많은 운전자가 ‘돌아간다’는 생각에 우회로를 이용하지 않는 것 같다”고 했다.

서부간선도로 내 오목교 지하차도 진입로는 빨간색·흰색 PE 방호벽으로 막혀 있었다. 앞으로는 포클레인 2대가 연신 흙은 거둬내는 중이었다. 차량들은 어쩔 수 없이 오목교 지상 도로를 이용해야 했고, 오목교 교차로 신호에 따라 정체가 길게 이어졌다. 신호가 바뀌었는데 꿈쩍하지 않으면 잠시도 지체 없이 “빵” “빵” 사방에서 경적이 울려댔다. 목동 주민 김민수(47·학원강사)씨는 “서부간선도로를 따라 경기도 광명시 내 학원을 오가는데 누구를 위한 공사인지 모르겠다”고 했다.

1988년 개통한 서부간선도로는 성산대교 남단에서 금천구 금천IC까지 10.6㎞를 잇는다. 서울 서남권역의 핵심 도로다. 지난해 기준 하루 평균 10만8073대의 차량이 이용했다. 동부간선도로(12만627대), 남부순환로(10만9329대) 다음으로 많은 수치다. 출·퇴근 시간 외에도 상습 정체가 일어난다고 한다. 2023년 9월 자동차전용도로인 서부간선도로를 신호등과 교차로가 운용되는 일반도로로 바꾸면서 동시에 주변을 공원으로 꾸미는 공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공사 구간은 8.1㎞에 달한다. 그간 중앙분리대를 거둬 낸 서울시는 공사 일정상 올해 6월 오목교 지하차도(성산대교→일직 방향) 내 차량 통행을 중단시켰다. 그러자 ‘극한 정체’가 발생했다.

일반도로화 사업은 고(故) 박원순 서울시장 시절 입안됐다. 이후 기본설계용역 등 절차를 거쳐 착공한 것이다. 사업비는 1257억원, 예상 준공 시점은 내년 6월 말이다.

17576219522137.jpg

김주원 기자

가뜩이나 막히는 도로 사정이 더욱 심각해지자 서울시는 지난 8일 공사를 전면 중단했다. 모니터링 결과가 주요 판단의 근거가 됐다. 현재 오목교 지하차도 내 통행 재개를 위한 ‘원상 복구공사’가 진행 중이다. 지금까지 진행한 공사의 중단에 따라 최대 10억원의 매몰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서울시는 다음 달 추석 연휴 전까지 이 원상복구 공사를 마무리하겠다는 계획이다.

극한 정체를 불러온 건 우회도로 역할을 해야 했을 광명서울고속도로가 지난해 예정대로 개통되지 않은 영향이 크다. 국토교통부가 벌인 사업이다. 하지만 사업 추진과정에서 주민 반대 등에 부딪혀 여러 곡절을 겪었다. 그 사이 광명서울고속도로의 개통 시기는 2027년 말로 미뤄졌다. 커다란 돌발 변수였으나 서울시는 이미 2년 전 첫 삽을 뜬 공사인 만큼 중단하지 않았다. 결국 사달이 났다.

17576219524613.jpg

10일 오전 원상 복구 공사가 진행 중인 서부간선도로 오목교 지하차도 앞 모습. 신호에 따라 반대 차선(성산대교 방면)도 정체가 이뤄졌다. 김민욱 기자

서울시는 앞으로 서부간선도로 내 상습 정체를 완화하려 1개 차로를 늘릴 계획이다. 철거한 중앙분리대 자리를 활용한다. 이렇게 늘린 차로는 출·퇴근 시간대 교통량에 따라 가변차로로 쓰인다. 서울시는 장기적으로는 서부간선도로로 인해 단절된 생활권을 연결하려 보행육교 설치나 도로 상부를 활용한 덮개 공원 조성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광명고속도로 개통 이후 교통량이 분산되면, 교통 상황을 면밀히 분석해 잠정 보류한 서부간선도로의 일반도로화 사업의 추진 여부를 다시 검토할 계획이다.

서부간선도로의 일반도로화 사업에는 ㈜건영을 비롯해 STX건설 등 5개 업체가 시공사로 참여 중이다. 사업 잠정 중단에 따른 ‘항의’는 없었다고 한다. 서울시 관계자는 “서부간선도로에 보행친화적인 녹지공간을 더하려는 정책 목표보다 당장 지하차도 폐쇄로 인해 발생하는 차량정체 문제가 더 심각하다고 판단했다”며 “아직 계약 당사자들로부터 공사 중단에 따른 컴플레인은 없는 상황”이라고 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511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