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서울 아파트 매수 심리 ‘사자 > 팔자’…7주 만에 기준선 돌파
-
1회 연결
본문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9월 2주(8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0.09%로 직전 주(0.08%) 대비 소폭 확대됐다.사진은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뉴스1
서울 아파트 매수 심리가 다시 기준선인 100을 넘어섰다. 매물이 많지 않은 상황에서 사려는 수요가 늘어나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한국부동산원 조사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100.2를 기록하며 7월 3주 차(100.1) 이후 7주 만에 기준선을 돌파했다.
매매수급지수가 기준선 100보다 높다는 것은 시장에 집을 팔려는 사람보다 사려는 사람이 많다는 뜻이다.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지난 6월 4주차 조사에서 104.2를 기록한 뒤 6·27 대출 규제 이후 하락세를 보이며 7월 4주차에는 기준선 아래(99.3)로 떨어졌다.
그러나 이번 주에는 성동(0.20→0.27%), 광진(0.14→0.20%), 마포구(0.12→0.17%) 등 한강벨트 비규제 지역과 강남(0.09→0.15%), 서초·용산구(0.13→0.14%), 중구(0.11→0.16%) 등 인기지역의 가격 상승폭이 커지면서 수급지수도 기준선을 넘어섰다.
한국부동산원이 조사한 이번 주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주(0.08%)보다 오른 0.09% 상승률을 기록하며 5주 만에 오름폭이 확대됐다.
권역별로는 종로·중구·용산구 등 도심권이 104.3으로 가장 높았고, 양천·영등포·동작구 등이 포함된 서남권이 102.7로 뒤를 이었다. 강남 3구와 강동구가 포함된 동남권은 102.0, 마포·서대문·은평구가 있는 서북권은 101.4였다.
동북권은 성동·광진구 한강변 아파트의 신고가 거래가 늘었음에도 불구하고 노원·도봉·강북구 등 중저가 아파트 지역의 매수 심리 회복이 더딘 탓에 99.5로 기준선에 미치지 못했다.
마포구 아현동의 한 공인중개사는 “6·27대책 이후 한동안 매매시장이 잠잠했는데 8월 들어 문의가 늘고 거래가 증가하고 있다”며 “전용 85㎡는 신고가 거래도 나타나고 있어 당분간 가격이 강세를 보일 것 같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