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밖에서 얻어터지고 안에서 식칼 휘둘러”…강경 투쟁 나선 野
-
7회 연결
본문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가 12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야당탄압 독재정치 규탄대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임현동 기자
악수(握手)가 악수(惡手)가 됐다.
국민의힘은 지난 10일 여야가 합의한 3대 특검법 개정안이 더불어민주당에 의해 하루 만에 파기되자 대여 투쟁 수위를 대폭 끌어올렸다. 지난 8일 이재명 대통령 중재와 여야 대표 간 악수로 조성된 ‘협치 무드’가 완전히 깨진 듯 오찬 회동 나흘 만인 12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 집결한 국민의힘 지도부는 “입법 내란” “합작 사기극” 등 거친 말을 쏟아냈다.
국민의힘은 이날 국회 안팎을 가리지 않고 대여 투쟁에 고삐를 죘다. 송언석 원내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 본청 앞 계단에서 열린 ‘야당 탄압 독재 정치 규탄 대회’에서 “이재명 정권 하 100일은 대한망국(亡國) 열차에 탑승한 것 같은 느낌”이라며 “강성 당원이 반대한다고 야당과 약속을 하루 아침에 손바닥 뒤집 듯하는 민주당 대표를 인정할 수 있느냐”고 직격했다. 송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회의에선 “여야 합의 파기는 단지 서로 손발이 잘 안 맞을 뿐이지 본질적으로 이재명 정권 수뇌부의 합작 사기극”이란 날선 발언도 했다.
장동혁 대표는 규탄 대회에서 미국 조지아주 한국인 구금 사태를 언급하며 “국민의 손발이 묶여도 말 한 마디 못하면서 안에서는 정치 보복의 도끼를 휘두르고 있다”며 “밖에 나가서 신나게 얻어터지고 집안에 돌아와서는 가족들에게 식칼을 휘둘르는 꼴”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규탄 대회에는 소속 의원을 비롯해 전국 각지에서 상경한 시·도 당협위원장과 당원 등 1만5000명(당 추산)이 집결했다.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와 김도읍 정책위의장이 12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열린 정치보복 불법특검 규탄대회에 참석해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은 이후 용산 대통령실 앞으로 이동해 ‘정치 보복 불법 특검 규탄대회’를 열고 장외 투쟁을 이어갔다. 국민의힘은 ‘이재명 대통령에게 드리는 특검 3법 개정안에 대한 재의요구 건’이란 문건을 대통령실에 전달했고, 장 대표는 이 자리에서 3대 특검법 개정안에 대한 이 대통령의 재의요구권(거부권) 행사를 공개 요구했다.
장 대표는 “이 대통령이 여당 대표에게 ‘여당이 가진 것이 많으니 양보하라’고 했던 게 불과 4일 전”이라며 “(취임) 100일 잔칫상에 올린 특검법과 (권성동 의원) 체포동의안이 여당이 양보한 결과는 아닐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특검법에 대해 재의요구권을 행사하지 않는다면 이 대통령은 국민의힘을 지지했던 42%의 대한민국 국민을 버리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민주당이 추진하는 내란특별재판부 설치와 관련해서도 “이 대통령이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어떤 점이 위헌인지 잘 모르겠다’고 밝혔는데, 그게 진심이라면 더 이상의 협치는 없다”고 했다.
국민의힘은 이날 오전엔 ‘이재명 정부 100일 국정 파탄 실정’이란 주제로 국회 토론회를 열어 ▶정치 파탄 ▶경제 실정 ▶외교·안보 참사 ▶미래 세대 부담 등 4개 분야로 구성된 실정 사례집을 발간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여야 지도부 오찬 회동에서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가 악수하는 것을 보고 미소를 짓고 있다. 뉴스1
대통령실은 국민의힘을 향한 불쾌감을 감추지 않았다. 강유정 대변인은 국민의힘의 대통령실 항의 방문에 대해 “특검법 개정 관련 민원을 제출하기 위해 대통령실까지 찾아와 의견을 전하신 것에 대해 수고하셨다는 말씀을 먼저 드린다”면서도 “불법 비상계엄과 내란은 용납할 수 없는 법치 파괴 행위이기에 단호한 단죄만이 민주공화국 대한민국을 지탱하는 길”이라는 입장을 냈다.
김병욱 정무비서관도 이날 SBS 라디오에 출연해 장 대표가 전날 이 대통령 취임 100일 기자회견을 혹평한 걸 두고 “국민과 괴리된 자신만의 망상 세계에서 아직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며 “후안무치하다”고 비판했다. 김 비서관은 “(야당이) 아무리 지지율이 낮은 집단으로 전락했지만 그래도 객관적이고 좀 상식적이고 합리적인 선에서 평가할 건 평가하고, 비판할 것은 비판해야 한다”고도 했다.
여야의 갈등 수위가 높아지고 있지만 양측 모두 협치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지는 않았다. 송 원내대표는 “특검법과 정부조직법 합의를 번복한 것과 관계없이 여야 민생경제협의체와 관련해 합의된 사항을 준수하라”며 16일 이전에 첫 회의를 개최하자고 제안했다. 김병욱 비서관은 “(국민의힘을) 조금 더 설득하고, 대화를 하고, 끈을 놓지 않으면 무언가는 만들어낼 수 있겠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