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배경훈 “해킹 대응 체계 TF 구성, 범정부 종합 대책 만들 것”

본문

“특별 태스크포스(TF)팀을 꾸려 해킹을 근절할 수 있는 정보 보호 체계를 마련하겠다.”

17578308328135.jpg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2일 서울 종로구 HJ비즈니스센터에서 열린 취임 첫 기자간담회에서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12일 서울 종로구 HJ비즈니스센터에서 연 취임 첫 기자간담회에서 올해 연이어 발생한 주요 통신사 해킹 사건을 언급하며 이 같이 말했다. 그는 “TF는 2차관이 이끌 것”이라며 “범정부 차원에서 종합 대책을 내놓기 위해 관계 부처와도 소통하고 있다”고 말했다. LG AI연구원장으로 국산 초거대 인공지능(AI) 모델 ‘엑사원’ 개발을 주도한 배 장관은 이재명 정부의 첫 과기정통부 장관으로 발탁돼 지난 7월 17일 취임했다.

배 장관은 취임 이후 국가 정보 보호 체계 대전환을 위한 종합 대책 마련에 공을 들이고 있다. 지난 4월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건이 발생한 지 3개월여 만에 또다시 ‘KT 무단 소액결제 사건’이 발생하면서다. 배 장관은 “해킹 기술이 발전하는 속도를 방어 기술이 따라가지 못하는 게 근본적인 원인”이라며 “휴대전화 단말기에서 해킹을 차단하거나 통신망에서 스미싱(문자 기반 피싱) 범죄를 원천 차단하는 방법, 국가 차원에서 화이트해커를 양성하는 정책 등 근본적인 대책들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해킹 사건이 발생했을 때 기업 신고에 의존하다 보니 정부 대응이 늦어진다는지적과 관련해서도 개선 방안을 검토한다. 정보통신망법은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가 해킹 등 침해 사고가 발생한 것을 알게 된 때로부터 24시간 이내에 과기정통부 장관이나 인터넷진흥원(KISA)에 신고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번 KT 사건에서도 최초 피해 신고는 지난달 27일, 경찰 통보는 지난 1일에 이뤄졌지만, KT는 지난 11일에서야 개인정보 유출을 인정하고 사과했다. 배 장관은 “현재는 기업이 KISA에 침해사고 신고 접수를 한 뒤에야 정부가 대응할 수 있는 구조”라며 “정부가 (해킹 사고가) 의심될 때도 즉시 대응할 수 있는 법적 체계 마련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잠재성장률 3% 회복에 AI가 기여”

17578308330892.jpg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2일 서울 종로구 HJ비즈니스센터에서 열린 취임 첫 기자간담회에서 과학기술과 인공지능(AI) 정책에 청사진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이 강점을 가진 분야에 특화한 AI를 개발하고, 국민 모두의 AI를 구현하는 범국가적 AI 대전환(AX)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이를 위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하고, 기반이 되는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 확보 등 AI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을 당면 과제로 제시했다. 배 장관은 “당초 정부의 GPU 확보 목표(2030년 5만장)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해 2030년까지 20만장을 확보할 수 있는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며 “국가대표 AI 모델도 글로벌 수준의 언어모델(LLM)을 넘어 멀티모달(LMM), 행동모델(LAM)까지 발전시켜 잠재성장률 3% 회복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 모두를 위한 AI가 구체적으로 무엇이냐는 질문엔 “AI를 잘 쓰는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들의 생산성 격차가 점차 커질 것”이라며 “소외 계층도 모두 AI를 잘 쓸 수 환경을 만들고, 이를 우리의 AI 모델로 구축하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화 AI 모델과 관련해선 “제조 분야 등을 AI로 전환하기 위한 피지컬 AI 기반을 마련하면 미국과 중국과 관계에서도 우리가 유리한 지점을 차지할 수 있을 것”이라며 “하나의 성공 사례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고, 이를 확산하기 위한 플랫폼 전략과 데이터 확보 전략이 동시에 만들어져야 한다”고 했다.

부총리급 격상…“과학기술 AI 장관회의 신설”

최근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정부조직 개편방안’에 따르면 과학기술부총리 직제가 18년 만에 부활한다. 배 장관은 신설되는 과기부총리를 겸임하면서 과학기술과 AI 업무를 총괄 조정하게 된다. 배 장관은 “국회 본회의 통과 등 관련 절차를 거치면 10월 초쯤 과기정통부는 부총리급 조직으로 격상될 것”이라며 “그렇게 되면 과학기술 인공지능 장관회의를 주최해 각 부처에서 AX 성공 사례를 잘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하고, 중복되는 AI 정책들을 조율하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개발(R&D) 예산에 대한 주도권을 강화하겠다는 뜻도 내비쳤다. 배 장관은 “기술 전문가들이 R&D 예산을 검토할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해 부실함이 발생했던 게 사실”이라며 “R&D 예산을 검토하는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목소리를 더 낼 것”이라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916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