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유럽 전선으로 확대되는 우크라이나 전쟁…나토, 공세적 방어 본격화
-
6회 연결
본문
러시아 드론이 폴란드 영공을 침범한 데 격추로 대응한 유럽 국가들이 러시아발 위협에 맞서 집단방위 체제를 본격적으로 시험하기 시작했다.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동부전선을 비롯, 폴란드처럼 우크라이나와 국경을 마주한 국가에 군사력 배치를 가다듬어 러시아의 서진(西進) 의지를 꺾겠다는 의도다. 나토는 특히 러시아의 회색지대 전략에 “동맹 영토 방어 의지를 행동으로 입증하겠다”며 이 지역에서 군사적 충돌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도날트 투스크 폴란드 총리가 11일(현지시간) 폴란드 라스크 제32 전술공군기지에서 러시아 드론의 영공 침범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13일(현지시간) AP 통신에 따르면 폴란드군은 러시아의 드론 공격에 대비해 지상 기반 방공과 정찰 시스템을 최고 경계 수준으로 끌어올렸다. 폴란드군 작전사령부는 이날 동부 도시 루블린 공항을 폐쇄한 뒤 성명을 통해 “영공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작전의 일환”이라며 “폴란드와 동맹의 군용기를 배치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 같은 조치는 본질적으로 예방적 성격이며 특히 위협 지역에 인접한 지역의 영공을 확보하고 시민을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설명했다.
폴란드군의 해당 작전은 러시아를 향한 경고 메시지를 담고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을 빌미로 러시아의 군사적 움직임이 선을 넘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분기점은 10일(현지시간) 러시아 드론의 폴란드 영공 침범이었다. 19건의 영공 침범에 폴란드는 자국 F-16 전투기는 물론 회원국 간 긴급 협의를 명시한 나토 조약 4조를 발동했다. 이에 폴란드군은 네덜란드 F-35, 이탈리아 공중조기경보통제기(AWACS), 독일 패트리엇 방공 체계의 지원까지 받아 러시아 드론 3~4대를 격추했다.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의도성이 불분명한 러시아 드론의 영공 침범에 직접 격추로 대응한 건 이때가 처음이었다. 1949년 나토 출범 이후 회원국 영공에서 나토 전력이 실사격을 실시한 것도 최초였다.

폴란드 소방이 10일(현지시간) 폴란드 루블린주에서 격추된 러시아 드론과 파손된 주택을 수습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서부 군사시설을 타격하려 했을 뿐 폴란드 내 공격 계획은 없었다고 고의성을 부인했지만 유럽 국가들은 러시아의 회색지대 전략을 의심하고 있다. 의도된 저강도 도발로 상대의 교전규칙, 방공망 태세 등을 떠보는 동시에 레드라인을 뒤로 물리려는 것 아니냐는 의미다.
러시아 드론이 13일 우크라이나와 국경을 접한 루마니아 영공에 잇달아 나타난 점도 이런 관측을 뒷받침한다. 당시 루마니아군은 F-16 전투기 2대와 자국 내 항공 감시 임무를 담당하는 독일의 유로파이터 2대를 긴급 출격시켜 드론이 영공을 벗어날 때까지 집중 감시를 벌였다. 러시아로선 상대적으로 나토 방어의 취약 지대인 흑해를 골라 서진을 염두에 두고 레드라인의 ‘문턱 시험’에 나섰을 수 있다.
나토는 러시아의 도발 행보를 더 이상 묵과하지 않겠다며 공세적 대응을 예고한 상태다. 마르크 뤼터 나토 사무총장과 미 공군 4성 장군인 알렉서스 그린케위치 나토 유럽동맹 최고사령관은 12일(현지시간) ‘이스턴 센트리(Eastern Sentry·동부전선 감시경계)’라는 새 임무를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덴마크 F-16 2대, 프랑스 라팔 3대, 독일 유로파이터 4대 등 나토 공중전력을 중심으로 동부전선 전체에 유연하면서도 상시적인 방어체계를 구축한다는 내용이다.
나토의 강경책을 놓고 러시아가 영공 침범을 이어갈 경우 나토 조약 4조를 넘어 5조가 발동될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회원국을 향한 무력 공격을 나토 전체에 대한 공격으로 간주하고 집단방위를 가동한다는 것이다. 뤼터 사무총장은 “우리는 나토로서 우리의 영토를 방어할 결의와 능력을 분명히 해야 한다”며 “이스턴 센트리가 설계된 이유”라고 말했다.

이스턴 센트리 작전 개시 후 폴란드 한 공군기지에 프랑스 라팔 전투기가 대기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일부 유럽 국가에선 러시아의 위협을 이미 실존적 문제로 받아들이는 기류도 감지된다. 폴란드에서 예비군을 자원하는 인원이 크게 늘었다는 소식이 대표적이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폴란드의 올해 예비군 훈련 자원자는 약 4만명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2022년의 1만6000명에 비해 크게 늘은 수치다. 로이터 통신은 “수십 년간 소련의 지배를 견뎌온 폴란드 국민에게 러시아 위협에 대한 두려움은 여전히 크다”며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백악관으로 복귀하면서 미국의 안보 공약의 신뢰성에 유럽의 우려가 다시 불붙은 것”이라고 평가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