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국민을 위한 국민의 기업] 모든 세대가 함께 즐기는 음악축제, 나눔의 가치 다시 새기다

본문

한국문화예술위원회

17579280460857.jpg

지난 6일 서울어린이대공원에서 열린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2025 아트 포레스트 페스티벌’ 1회차 공연 모습. [사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지난 6일,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주최하는 ‘2025 아트 포레스트 페스티벌’(이하 아포페)의 첫 회차가 서울어린이대공원에서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궂은 날씨에도 불구하고 약 6000명의 관객이 자리를 지키며 세대와 장르를 아우르는 다채로운 공연과 나눔의 가치를 함께 즐겼다.

무대는 신예 밴드 까치산의 활기찬 공연으로 시작해 원슈타인, 선우정아, 해금 명인 강은일, 재즈 보컬리스트 웅산으로 이어지며 풍성한 음악적 경험을 선사했다. 김태우는 ‘사랑비’와 ‘촛불하나’ 등 히트곡으로 관객과 하나 되는 무대를 만들었고, 박정현은 ‘그대라는 바다’와 ‘Someone Like You’ 등으로 피날레를 장식하며 전 세대에게 깊은 감동과 여운을 남겼다.

아포페는 ‘선한 영향력’이라는 가치를 축제 곳곳에 녹여냈다. RE:플라스틱, 헤어피스 스타일링 등 유료 체험 부스의 수익금 전액을 ‘꿈밭펀딩’으로 연계해 아동·청소년 전용 극장인 ‘아르코꿈밭극장’ 운영 기금으로 기부하고, 예술나무 후원의 의미를 알리는 이벤트로 관객의 자연스러운 참여를 유도했다. 이 밖에도 인스턴트 셀프 타투, 페이스 페인팅 등 무료 체험 부스가 운영돼 관객에게 즐길 거리를 제공했다.

또한 지속가능한 관람 환경을 실천하기 위해 일회용품 반입을 제한하고 다회용기 사용을 권장했으며, 별도의 리플렛 대신 모바일 QR코드를 활용해 종이 사용을 줄임으로써 환경 보호를 실천했다. 제주삼다수, 아르포텐, 짐보리, 삼성출판사, 어부의그물질, 왕타칫솔 등 여러 기업도 물품 후원으로 동참해 축제의 의미를 더했다.

이번 페스티벌은 초록우산 어린이재단을 통해 문화소외계층 아동·청소년을 초청하고, 청년문화예술패스 할인 제도를 도입해 청년층의 참여를 확대했다. 이를 통해 아이부터 어른까지 모든 세대가 함께 즐기고, 그 즐거움이 다시 미래 예술을 위한 자양분이 되는 뜻깊은 흐름을 만들었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관계자는 “관객의 즐거움이 예술나무의 성장으로 이어지는 축제의 방향에 공감해 주신 모든 분께 감사하다”며 “남은 2·3회차 공연에도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고 전했다.

아포페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식 누리집 또는 아트 포레스트 페스티벌 공식 인스타그램에서 확인할 수 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668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