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미 빅테크 AI연구소 절반 중국계...AI 인재 귀환 도미노 시작되나[팩플]

본문

미국 빅테크에서 일하던 중국 인재들의 본국 귀환 움직임이 심상치않다. 지난 2월 구글의 AI 조직 딥마인드 우융후이 연구 부사장이 틱톡 운영사 바이트댄스의 AI 연구개발 부서 책임자로 이직한 데 이어 최근 오픈AI 연구원 야오순위가 텐센트로 이직해 화제가 됐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야오순위의 몸값은 195억원으로 미국 AI업계에서 중국으로 이직한 가장 주목할만한 사례다. 미국 빅테크 AI 연구소 직원 상당수가 중국계인만큼 향후 AI 인재의 귀환 도미노가 더 가속화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17580166958044.jpg

사진 중앙포토

메타 AI 연구원 절반은 중국인  

올 7월 미국 실리콘밸리 유명 벤처캐피털(VC)인 멘로벤처스 소속 파트너 디디 다스는 내부자로부터 입수했다며 자신의 소셜미디어에 메타의 ‘초지능 연구소’ 인재 명단을 공개했다. 메타는 올들어 조단위 금액을 투자하며 스케일AI 창업자 알렉산더 왕을 비롯해 오픈AI, 구글 등 경쟁사에서 핵심 인재를 영입했다. 그런데 이 명단에 이름을 올린 44명중 21명(47%)의 국적이 중국인이라는 점이 소셜미디어에서 화제가 됐다. 이들은 우융후이와 야오순위처럼 중국에서 칭화대, 베이징대 등 학부를 졸업한 뒤 MIT, 스탠퍼드대, 프린스턴대 등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해 양국의 기술과 문화에 대해 잘 알고 있는 이들이었다.

미 시카고대 폴슨연구소 싱크탱크 매크로폴로의 연구도 이와 비슷한 결과를 보여준다. 미국 ‘우수 AI 연구원(상위20%)’의 국적 비중(2022년)을 조사한 결과 중국이 47%로 가장 높았다. 미국(18%), 유럽(12%), 인도(5%)가 뒤를 이었다. 2019년 중국은 29%에 불과했는데 3년 사이 18%포인트 늘었다.

중국 인재의 귀환  

17580166960394.jpg

박경민 기자

미국에서 활동하던 중국 인재들의 본국행(行)은 매년 늘고 있다. 스탠퍼드대 분석에 따르면 미국에서 연구활동을 한 중국 과학자·연구원 중 귀국한 이들의 비율은 2010년 48%, 2021년 67%, 지난해 75%로 늘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집권 1기 시절인 2018년 경제·기술 분야 스파이를 잡겠다며 중국 학자와 연구원들을 조사한 ‘차이나 이니셔티브’를 출범 시킨 영향도 일부 있었지만, 최근 양상은 다르다.

우융후이, 야오순위 같은 중국 테크 인재들이 중국 회사로 이직하는 배경으로 중국의 해외인재 영입프로젝트인 치밍(啓明·QM) 계획이 주목받고 있다. 중국은 2018년까지 10년간 첨단 기술 육성을 위해 해외인재 유치프로그램 '천인계획'을 운영하다 중단했다. 2023년 로이터 보도 등에 따르면 2년 뒤 중국은 치밍 계획이란 유사한 프로그램을 부활시켰다.

17580166979714.jpg

지난해 5월 중국 남서부 구이저우(貴州) 구이양(貴陽)에서 열린 국제빅데이터산업 엑스포 2023에서 텐센트의 클라우드 디지털 트윈이 소개되고 있다. 사진 신화통신

치밍은 반도체처럼 민감하거나 기밀 영역을 포함하는 과학·기술 분야에서 해외 고급 인재를 모집하는 프로그램이다. 올해 치밍 계획을 감독하는 공업정보화부는 청년인재·혁신인재·해외 포스트닥터 등으로 나눠 지난 7월 해당 인재를 모집했다. 정부 심사를 통과한 인재에게는 국가 지원급 100만 위안(1억9400만원)을 포함해 지역 성(省)급 매칭 지원금까지, 약 3억 8800만원을 일시에 지급한다. 또 추가 지방 매칭 지원금으로 청년인재의 경우 150만 위안(2억9000만원), 혁신인재나 창업인재는 300만 위안(5억8000만원)을 1회성으로 지원한다. 임금, 주택보조금 등까지 종합하면 치밍계획 기준을 통과한 특급 해외 인재의 경우 최대 12억원까지 지원 받을 수 있다.

한국은 인재 유출 계속 

17580166981991.jpg

박경민 기자

반면 국내에선 인재 유출이 계속되고 있다. 지난 6월 대한상공회의소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국제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한 과학 연구자 중 국내 유입된 비율 보다 해외 유출된 비율이 0.21%p 많아 순유출을 기록했다. 반면 중국은 유입비율이 0.24%p 더 많았다. AI인재는 2022년부터 순유출로 돌아섰다. 스탠퍼드대 인간중심 AI 연구소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AI 인재는 인구1만명당 0.36명꼴로 해외로 유출됐다.

이성엽 고려대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교수는 “미국 빅테크 중국 인재들의 귀환이 늘어나는 추세로, 이직 도미노가 시작될 수 있다”며 “중국 반도체 인재가 미국에서 돌아와 굴기를 만들었듯 AI 굴기도 가속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국내에서는 정부나 기업 대책이 전무한데 중국의 AI 인재 양성과 귀국 지원 정책 등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879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