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우상혁 “금메달 위해 최선 다했지만…부상 안고 뛰었다”
-
5회 연결
본문

16일 도쿄 세계육상선수권 높이뛰기 결선에서 경기를 치르는 우상혁. 2m34를 뛰어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신화=연합뉴스
“금메달을 위해 최선을 다했지만, 부상이 있었기 때문에 아쉬운 부분은 있다.”
16일 일본 도쿄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2025 도쿄 세계육상선수권에서 값진 은메달을 딴 우상혁(29·용인시청)이 경기 후 대한육상연맹을 통해 밝힌 소감이다.
이날 우상혁은 올해 자신의 최고 기록인 2m34를 뛰었다. 더할 나위 없는 경기 내용이었다. 그리고 금메달을 목에 걸기 직전까지 갔다. 그러나 지난해 파리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해미시 커(29·뉴질랜드)가 2m36를 뛰어넘었다. 그는 커를 따라잡기 위해 바를 2m38로 올리고 두 번 시도했지만, 끝내 넘지 못했다. 우상혁은 실내대회에서 2m36을 뛴 적이 있지만, 실외대회에선 2m35(2022년 유진)가 최고 기록이다. 사실상 2m38은 버거운 도전이다. 그렇게 우상혁의 네 번째(2017·2022·2023·2025) 세계선수권은 은메달로 막을 내렸다. 그는 앞서 유진 세계선수권에서도 은메달을 땄다.
그는 경기 종료 후 "육상연맹 육현표 회장님을 비롯해 많은 분들의 응원으로 은메달을 딸 수 있었다. 오늘의 성과는 오늘까지 만족하고 내일부터는 다시 열심히 달리겠다. 항상 응원해주는 여러분께 감사하다”고 소감을 밝혔다.
사실 우상혁은 지난달 초 독일 하일브론 대회 직전 종아리 근막 손상 진단을 받았다. 도쿄 대회를 준비하는 두달 동안 점프를 하지 못했다. 도쿄로 가기 직전까지도 최상의 컨디션이 아니었다.
김도균 육상 국가대표 수직 도약 코치는 출국 직전까지도 “목표가 우승이기 때문에 전력을 다해 뛰어야 할지, 선수 보호 차원에서 (우승 목표를) 미뤄야 할지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이번 대회 예선 첫 시도인 2m15에서 바에 걸린 게 그 때문이다. 하지만 우상혁은 “뛰어 보니 감각이 되살아났다”고 했고 은메달을 따냈다.
우상혁은 이번 시즌 앞만 보고 달렸다. 부상 전까지 국제대회에 7번 나가 7번 우승했다. 이는 지난해 파리 올림픽에서의 부진을 씻기 위해서였다. 지난겨울 훈련에만 몰두했으며, 최상의 퍼포먼스를 냈던 몸무게도 66~68kg에 고정했다. 이를 위해 하루 한 끼, 1000㎉ 남짓으로 하루를 버텼다. 우상혁은 이제 2026 아이치·나고야 아시안게임, 2027년 베이징 세계선수권을 향해 다시 출발한다.
육상 국가대표 수직도약팀은 18일 김포공항을 통해 귀국한다.
김영주 기자 xxxxxxxxxxx1xxxxxxxxxxxxxxx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