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외국인 조선업 채용 늘리면 우리 일자리 줄어”...울산 주민들 “광역형 비자 확대 반대”

본문

17580792576517.jpg

HD현대중공업과 HD현대미포조선 등 대형 조선소가 몰려 있는 울산 동구에서 ‘광역형 비자’ 확대를 반대하는 주민 서명운동이 본격화됐다. 이번 서명운동은 주민단체인 ‘제5회 동구 살리기 주민대회 조직위원회’가 주관한다. 사진 조직위

HD현대중공업과 HD현대미포조선 등 대형 조선소가 있는 울산 동구에서 '광역형 비자' 확대에 반대하는 주민 서명운동이 본격화했다. 울산시는 지난 5월 경남도와 함께 법무부의 광역형 비자 시범사업 대상 지자체로 선정돼 외국인 근로자를 유치하고 있지만, 지역 주민은 "내국인 숙련공 일자리와 임금 수준을 위협한다"며 반발하는 분위기다. 이 사업은 외국 현지에서 양성한 인력을 국내 산업 현장에 투입하는 울산형 광역 비자 제도다.

17580792578992.jpg

HD현대중공업과 HD현대미포조선 등 대형 조선소가 자리한 울산 동구에서 '광역형 비자' 확대에 반대하는 주민 서명운동이 본격화됐다. 서명운동은 주민단체인 '제5회 동구 살리기 주민대회 조직위원회'가 주관한다. 조직위는 기자회견문을 통해 ″조선업 인력난 해소를 명분으로 외국인 고용이 확대되면서 동구지역 외국인 유입이 급증하고 있다″며 ″이는 숙련공 임금 하락과 고용불안으로 이어지고, 조선업을 단기 비정규직 중심의 산업구조로 고착시킬 위험이 크다″고 주장했다. 자료 울산 동구

서명운동은 주민단체인 '제5회 동구 살리기 주민대회 조직위원회'가 주관한다. 조직위는 17일 기자회견문을 통해 "조선업 인력난 해소를 명분으로 외국인 고용이 확대되면서 동구지역 외국인 근로자가 급증하고 있다"며 "이는 숙련공 임금 하락과 고용불안으로 이어지고, 조선업을 단기 비정규직 중심의 산업구조로 고착시킬 위험이 크다"고 주장했다. 이어 "조선업 인력난 해법은 단순한 외국인 고용 확대가 아니라 숙련공 유지와 원·하청 이중구조 개선 등 질적 전환에 있다"고 강조했다.

주민들은 지역 사회 여건 악화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냈다. 조직위는 "동구는 이미 인구 감소와 상권 위축으로 생활 여건이 악화한 상황에서, 외국인 고용 확대는 지역 내 고용 불안을 키울 뿐"이라며 "필요한 것은 지역 청년과 숙련공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와 생활 기반 개선"이라고 지적했다.

이번 서명운동은 오는 11월 7일까지 온·오프라인으로 진행된다. 온라인 서명은 구글 폼을 통해 이뤄지며, 목표는 1만명 정도다. 수집한 서명지는 11월 중 울산시와 고용노동부 등에 전달될 예정이다.

17580792581434.jpg

울산시가 국내 최초로 추진한 글로벌 기술 인재 양성사업이 우즈베키스탄에서 첫 성과를 올렸다. 조선업 인력난 해소를 위해 진행한 국제 협력 프로젝트를 통해 97명의 외국인 기능 인력이 양성됐다.사진은 교육 중인 우즈벡 청년들의 모습이다. 사진 울산시

반면 울산시는 인력난 해소를 위해 해외 인재 양성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 7월에는 국내 최초로 추진한 ‘글로벌 기술 인재 양성사업’이 우즈베키스탄에서 첫 결실을 거뒀다. 전기·도장 등 조선소 핵심 기술을 배운 청년 97명이 수료했으며, 이들은 한국어·직장 예절·기초 법률까지 3개월간 교육을 마친 뒤 법무부 협의를 거쳐 최근 울산 조선업체에 배치됐다.

이 교육 과정은 울산시가 교육 기반과 비자 발급을 담당했다. 또 HD현대중공업이 강사와 커리큘럼을 지원했으며, 우즈베키스탄 정부가 인력 모집과 시설을 제공하는 삼자 협력 방식으로 운영됐다.

울산시는 연말까지 우즈베키스탄에서 총 411명의 기능 인력을 양성하고, 베트남(160명), 태국(125명)에서도 같은 방식으로 230명의 글로벌 인재를 추가 확보할 계획이다.

울산시가 해외에서 조선업 인력 양성에 나선 배경에는 늘어나는 조선 수주와 달리 부족한 노동력이 있다. 조선·해양산업 인적자원개발위원회(ISC)에 따르면 지난해 조선업종의 미충원율은 14.7%로, 전체 국내 산업 평균(8.3%)의 두 배 가까이 높았다.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는 국내 조선업계에 매년 1만2000명 안팎의 인력이 부족하며, 2027년에는 13만명이 더 필요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148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