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천연기념물 '검독수리' 가족, 한라산에 둥지 틀었다…77년만

본문

17580829161866.jpg

검독수리 수컷 성조. 국립생태원 제공

세계적 멸종위기종이자 천연기념물인 검독수리의 번식 둥지가 국내에서 77년 만에 발견됐다.

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는 작년 7월 한라산 북쪽에서 어린 검독수리가 구조된 사건과 주민 목격을 단서로 최근까지 조사를 벌였다. 그 결과 한라산 북쪽 절벽에서 지름 약 2m, 높이 약 1.5m 크기의 검독수리 둥지를 확인했다고 17일 밝혔다.

연구진은 지난 5월 망원렌즈로 약 200m 떨어진 지점에서 검독수리 부부와 새끼 한 마리가 함께 있는 모습을 촬영했다. 검독수리 가족은 지난 7월 둥지를 옮긴 것으로 확인됐으며, 생태원은 앞으로도 같은 지역에서 번식할 것으로 내다봤다.

17580829163895.jpg

한라산 북쪽 절벽의 둥지에 있는 검독수리. 국립생태원 제공

1948년 이후 첫 번식 확인

검독수리의 번식 둥지와 새끼가 동시에 발견된 것은 1948년 미군 장교가 경기 남양주시 예봉산과 천마산에서 확인한 뒤 77년 만이다.

이번에 관찰된 성체는 6세 이상으로 추정되며, 새끼의 성별은 확인되지 않았다. 둥지는 마른 나뭇가지로 만들어졌고 안쪽에는 마른 풀잎과 푸른 솔가지가 깔려 있었다.

세계적 희귀 맹금류

검독수리는 날개를 완전히 펼치면 길이가 2m가 넘는 대형 맹금류로, 유럽과 아시아, 북아메리카 등 북반구 전역에 서식한다. 국내에서는 주로 겨울철 산과 습지 주변에서 드물게 관찰돼 왔다.

사슴·토끼·고라니 등 포유류와 오리·꿩 같은 조류를 사냥하며, 먹이가 없을 경우 사체도 섭취한다. 번식기는 1∼2월로 1∼4개의 알을 낳아 44∼45일간 품고, 부화 후 새끼는 70∼102일 동안 길러진다.

17580829165926.jpg

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 정길상 복원연구실장이 16일 정부세종청사 환경부 기자실에서 멸종위기종 Ⅰ급 검독수리 번식 둥지를 제주도에서 77년 만에 확인했다고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천연기념물·멸종위기 1급

검독수리는 1973년 천연기념물, 2012년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으로 지정됐다.

이창석 국립생태원장은 “이번 번식 둥지 발견은 학술적·역사적으로 큰 의미가 있다”며 “제주도 등 관계 기관과 협력해 검독수리 서식지 보호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100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