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건진법사에게 건넸지만 김건희에 전달됐는지는 몰라"…윤영호 첫 재판

본문

17581007697779.jpg

'건진법사 청탁 의혹'의 핵심 인물인 윤영호 전 통일교 세계본부장이 지난 7월 30일 구속전피의자심문을 위해 서울중앙지법에 출석하는 모습. 연합뉴스

김건희 여사에게 샤넬백과 그라프 목걸이 등을 제공한 혐의로 구속기소된 윤영호 전 통일교 세계본부장이 첫 재판에서 “혐의를 대체로 인정한다”면서도 “목걸이가 최종적으로 김건희 여사에게 전달됐는지는 알지 못한다”고 밝혔다.

윤영호 측 “김건희에 전달 입증 안 되면 범죄 안 돼" 

17581007700642.jpg

윤석열 전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가 지난달 6일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에 마련된 김건희 특검팀(특별검사 민중기) 사무실에서 조사를 마친 후 귀가하고 있다. 뉴스1

서울중앙지법 형사27부(부장 우인성)는 17일 오후 윤 전 본부장의 청탁금지법 등 혐의 사건 1심의 첫 번째 공판기일을 열었다. 윤 전 본부장 측 변호인은 이날 재판에서 “그라프 목걸이와 샤넬 가방을 전성배(건진법사)에게 전달한 점은 인정하지만, 최종적으로 김건희에게 전달됐는지는 알지 못한다”며 “최종 전달된 사실이 객관적으로 입증되지 않으면 공소사실이 성립되지 않는다는 입장”이라고 했다.

아울러 권성동 의원에게 1억원을 제공한 혐의에 대해서도 “대체로 인정한다”고 했다. 다만 금품을 구입하는 데 교단의 자금을 사용한 혐의(업무상 횡령)에 대해서는 “자금 출처가 과연 교단의 돈인지, 한학자 총재 개인의 돈인지에 따라 범죄 성립이 달라질 것”이라며 “불법 영득 의사(타인의 재물을 자기 소유물처럼 이용할 의사)가 있다고 보기 어렵다”고 했다. 한 총재의 해외 원정도박 관련 수사 정보를 제공받고 컴퓨터를 포맷하는 등 증거를 인멸한 데 대해서는 혐의를 부인했다.

이날 윤 전 본부장은 흰색 피케 셔츠에 검은 정장 재킷, 바지를 입고 법정에 섰다. 왼쪽 가슴팍에 수용번호를 단 그는 손바닥으로 머리카락을 쓸어넘긴 뒤 가만히 앉아 재판 시작을 기다렸다. 재판부가 직업을 묻자 “전 통일교 세계본부장”이라고 답했고, ‘현재는 무직인가’라는 질문에는 “네”라고 답했다. 그는 재판 내내 별다른 발언을 하지 않고 약한 미소를 띤 채 정면을 쳐다봤다.

“종교단체 이권 추구에 대한민국 조직 동원한 국정농단” 

특검 측은 약 15분간의 프레젠테이션(PT)에서 “이 사건은 종교단체의 이권 추구에 대한민국의 예산과 조직이 동원된 국정농단 사건”이라며 “피고인은 통일교의 2인자로서 모든 범행을 주도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통일교가 지속적으로 피고인을 회유하고 있고, 한학자 총재의 제안에 따라 언제든지 허위진술이 가능하므로 구속기간 내 신속 재판이 필요하다”고 했다.

특검팀은 향후 재판에서 금품이 최종적으로 김 여사에게 건너갔다는 점을 입증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특검 측은 ▶김 여사 측이 샤넬백을 다른 상품으로 교환한 내역 ▶아크로비스타의 입출차내역 ▶김 여사가 윤 전 본부장에 전한 감사 인사 ▶윤 전 본부장의 다이어리 메모 등을 바탕으로 혐의를 입증할 예정이라고 했다. 권 의원에게 건너간 것으로 의심되는 1억원 사진과 2022년 1월 5일자 카톡 메시지 역시 재판에서 증거로 제시될 예정이다.

다음 기일은 오는 30일 오전 11시다. 재판부는 오는 10월부터 매주 월요일 재판을 진행하겠다고 했다.

17581007702729.jpg

한학자 통일교 총재가 17일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에 마련된 김건희 여사의 의혹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별검사팀 사무실에 세 번의 소환 불응 만에 자진 출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 전 본부장은 2022년 4~7월 건진법사전성배씨를 통해 김건희 여사에게 합계 2073만원 상당의 샤넬백 2개와 약 6220만원짜리 그라프 목걸이, 천수삼 농축차 등을 제공하고 통일교 현안을 청탁한 혐의(청탁금지법 위반·업무상횡령)로 지난달 18일 구속기소됐다. 2022년 1월 서울 여의도 한 식당에서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에게 윤석열 전 대통령 지원 명목으로 현금 1억원을 건넨 혐의(정치자금법 위반)도 있다.

윤 전 본부장은 이같은 청탁이 교주인 한학자 총재 승인 하에 이뤄졌다는 입장이다. 이날 오전 한 총재는 세 차례의 소환조사 불응 끝에 김건희 특검 사무실에 출석했다. 그간 통일교 측은 “금품 제공은 윤 전 본부장 개인의 일탈”이라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김 여사와 권 의원 역시 모두 혐의를 부인하는 가운데, 김 여사는 지난달 12일, 권 의원은 지난 16일 증거 인멸 우려 등을 이유로 구속영장이 발부됐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183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