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검정고시 출신 'SKY 신입생' 5년간 2배↑…고교 자퇴 급증,…

본문

17581475743152.jpg

서울대·연세대·고려대 로고. 사진 각 대학 홈페이지

서울대·고려대·연세대(SKY) 신입생 가운데 검정고시 출신이 차지하는 비율이 최근 5년간 꾸준히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이들 3개 대학의 검정고시 출신 신입생 비율은 2020년 0.9%(108명)에서 올해 1.9%(259명)로 2배 넘게 올랐다.

2020년 이후 연도별 추이를 보면 2021년 1.1%(138명), 2022년 1.2%(142명), 2023년 1.3%(155명), 2024년 1.4%(189명)로 한 해도 거르지 않고 상승했다. 3개 대학의 신입생 수는 2020년 1만1853명에서 올해 1만3475명으로 증가한 상태다.

서울과 인천, 경기 지역에 분포한 수도권 대학교로 범위를 넓히면 검정고시 출신 신입생 비율은 더 높았다. 수도권 대학에서 이들의 비율은 2023년 3.07%(4846명)에서 2024년 3.3%(5326명)를 거쳐 올해 3.4%(5581명)를 차지했다.

이처럼 검정고시 출신 신입생 비율의 상승은 최근 고교 자퇴생 증가세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교육부가 진선미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를 보면 전국의 고교 자퇴생은 최근 5년간 급증했다. 2020년 1만4140명이었던 고교 자퇴생은 지난해 2만6753명으로 2배 가까이 늘었다.

지난해 고교 자퇴생을 학년별로 보면 1학년 1만4721명, 2학년 1만641명, 3학년 1391명으로 저학년일수록 많았다. 이들은 대입 정시모집에 집중하기 위해 일찌감치 학교를 그만두고 검정고시를 치른 것으로 보인다.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과 내신 모두를 챙기기보단 수능에 '올인'하려 조기에 전략적 자퇴를 선택했다는 것이다.

최근 연령별 검정고시 합격자 현황을 봐도 10대(13∼19세) 합격자는 2021년 3757명에서 올해 4849명까지 늘었다. 수능을 치르는 검정고시생 비율 역시 늘고 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따르면 2025학년도 수능에 접수한 검정고시생은 2만109명으로, 전체 수능 접수 인원의 3.8%를 차지했다. 이는 2018년 1.9%의 두배에 달한다.

진선미 의원은 "내신을 포기하고 수능에 올인하는 자퇴 학생들이 늘고 있다"며 "학생들이 학교 교육안에서 성장해 대학에 진학하도록 교육정책의 틀을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280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