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라이브네이션 CEO "콘서트 티켓 가격 여전히 저렴"

본문

17581511373769.jpg

사진 라이브네이션 페이스북 캡처

세계적인 공연기획사이자 티켓 판매업체인 라이브네이션 최고경영자(CEO)는 콘서트 티켓 가격이 다른 스포츠 경기 관람료에 비해 여전히 저렴한 수준이라고 주장했다.

17일(현지시간) 미국 경제방송 CNBC에 따르면 마이클 라피노 CEO는 최근 이 채널의 콘퍼런스 행사에서 이같이 말했다.

라피노 CEO는 "스포츠계에서는 뉴욕 닉스 (농구) 코트 옆 좌석에 7만 달러(약 9600만원)를 쓰는 것이 명예의 상징처럼 여겨진다"며 "티켓 가격이 오른다는 기사를 보면 평균 콘서트 가격은 여전히 72달러(약 9만9000원)다. 그 돈으로 레이커스 (농구) 경기를 보러 가봐라. 한 시즌에 80번이나 된다"고 했다.

스포츠 경기는 한 시즌에 수십차례 경기가 열리는데도 한 경기당 티켓 가격이 비싼 데 비해 콘서트는 그보다 드물게 열리지만 가격이 그만큼 비싸지 않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미 노동통계국 소비자물가지수(CPI) 자료에 따르면 지난 8월 영화, 연극, 콘서트 티켓 가격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4% 상승해 전체 CPI 상승률(2.9%)을 웃돌았다. 반면 스포츠 경기 관람료는 1년 전보다 0.5% 하락했다.

라피노 CEO는 또 아티스트들의 스트리밍 수익이 줄면서 콘서트가 주요 수입원으로 떠올랐다고 했다. 그는 "최근 비욘세 투어를 진행했는데, 공연장 밖에 (공연 장비 등을 운송하는) 트럭이 62대나 있었다"며 "매일 밤 슈퍼볼 규모의 공연을 하는 셈"이라고 말했다.

라피노 CEO는 코로나19팬데믹 이후 전 세계적으로 콘서트가 그 어느 때보다 문화와 상업의 중심에 자리 잡게 됐다며 높은 관람 수요가 확고하게 이어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무대에 무엇을 하든 관객들은 그 경험을 공유하며 하나가 된다"며 "그 두 시간 동안 각자가 가진 모든 짐을 내려놓고 함께하는 순간을 즐긴다"고 했다.

골드만삭스는 라이브 음악 산업이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의 수요 기반에 힘입어 2030년까지 연평균 7.2%씩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360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