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프로야구 구장 장애인석 설치율 최대 30배차…1위 고척돔, 꼴찌는
-
3회 연결
본문

서울의 고척돔 그라운드 전경. 사진 서울시
한국 프로야구가 역대 최다 관중 기록을 달성했지만, 장애인 관람권은 구장마다 천차만별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장별 장애인석 설치 비율 차이는 최대 30배에 가까웠다.
18일 최보윤 국민의힘 의원이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프로야구 경기가 열리는 10개 구장의 장애인석 설치 상황은 제각각이었다. 키움의 홈구장인 서울 고척스카이돔은 전체 좌석 1만6000석 중 장애인석이 280석(1.75%)으로 가장 많았다. 반면 SSG 홈구장인 인천 SSG랜더스필드는 전체 2만3000석 가운데 장애인석은 14석(0.06%)에 그쳤다. 두 구장의 비율 차이가 29배를 훌쩍 넘는 셈이다.
다른 구장의 전체 좌석 대비 장애인석 설치 비율을 살펴보면 ▶대전 한화생명볼파크 1만7000석 중 200석(1.18%) ▶창원 NC파크 1만7983석 중 208석(1.16%) ▶광주 기아챔피언스필드 2만500석 중 230석(1.12%) ▶수원 ktwiz파크 1만8700석 중 82석(0.44%) ▶포항야구장 1만2120석 중 40석(0.33%) ▶대구 삼성라이온즈파크 2만4000석 중 65석(0.27%) ▶서울 잠실야구장 2만3750석 중 36석(0.15%) ▶부산 사직야구장 2만3079석 중 28석(0.12%) 등이었다.
현행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장애인 등 편의법) 시행령에 따르면 공연·관람장은 전체 좌석의 1% 이상을 장애인석으로 설치해야 한다. 특히 좌석이 2000석 이상일 경우, 최소 20석의 장애인석을 확보하도록 규정한다. 이를 어기면 정부 차원의 시정 명령을 내릴 수 있다. 하지만 운동시설의 경우, 이러한 장애인석 확보가 '의무'가 아닌 '권장' 사항이라 별다른 제재가 없다.

프로야구 경기장 장애인석 설치 및 운영 현황. 자료 최보윤 의원실
최보윤 의원실 관계자는 "지자체마다 야구장의 시설 분류가 공연·관람장, 운동시설 등으로 다르다 보니 장애인석 설치도 제각각인 상황"이라면서 "특히 SSG랜더스필드 같은 운동시설은 법적 강제 규정이 미흡해 장애인 관람권에 제약 가는 측면이 있다"라고 짚었다.
올해 프로야구는 큰 인기를 얻으면서 사상 처음으로 1100만 관중을 넘어섰다. 1200만 관중 시대도 정조준하고 있다. 그러나 장애인들이 야구장으로 가는 길은 여전히 멀다. 대부분 구장은 장애인석이 많지 않은 데다, 그나마 있는 좌석도 제대로 운영되지 않는 사례가 나온다.
올해 개장한 한화생명볼파크의 장애인석 일부가 인조 잔디로 덮이거나 이동형 일반석이 설치되는 등의 문제가 불거진 게 대표적이다. 지난달 대전 지역의 한 장애인 단체는 장애인석을 '특별석'으로 변경 운영한 것과 관련해 한화 구단을 고발하기도 했다.
최보윤 의원은 "구장별 장애인석 설치 비율 격차는 구장 운영 주체와 지자체마다 장애인 관람객에 대한 인식에 큰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법적 기준도 충족하지 못한 구장은 시설 소유자인 지자체와 운영을 맡은 구단이 협력해 시급히 개선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단순히 장애인석 숫자를 맞추는 데 그치지 말고, 장애인 관람객이 불편 없이 안전하고 편안하게 경기를 즐길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