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中청소기 스펙 부풀렸다…"흡입력, 삼성·LG의 3분의1 수준"

본문

17581679585309.jpg

무선청소기. 챗GPT 생성 이미지

국내에 유통 중인 중국산 무선 청소기들이 흡입력을 실제보다 강력하게 보이도록 단위를 왜곡해 표시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소비자원은 18일 한국산업기술시험원과 함께 무선 청소기 10종의 최대 흡입력을 시험·평가한 결과, 로보락·샤오미 등 중국산 제품 대부분이 국제표준 단위가 아닌 파스칼(Pa)을 사용해 광고해온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파스칼은 제품 내부 압력 상태를 나타내는 물리량으로, 흡입력을 직접적으로 설명하는 단위가 아니다.

17581679587909.jpg

무선청소기 최대 흡입력 시험 결과. 한국소비자원

시험 결과 삼성전자·LG전자·다이슨 제품은 모두 국제표준(IEC) 단위인 와트(W) 기준 280와트 이상의 흡입력을 보였다. 반면 로보락(72와트), 샤오미(82와트) 등 중국산 제품 6종은 58~160와트 수준에 그쳐 국산 제품의 3분의 1에도 못 미쳤다. 특히 일부 제품은 1만8000~4만8000Pa의 진공도 수치를 흡입력인 것처럼 표기해 소비자가 실제 성능을 오해할 소지가 컸다.

드리미 제품은 미국재료시험협회(ASTM) 기준 단위인 에어와트(AW)로 흡입력을 표시했으나, 실제 측정치는 표시 수치의 80% 수준(121와트)에 그쳤다.

소비자원은 무선 청소기 수입업체 8곳에 흡입력 수치·단위 표시 개선을 권고했으며, 국가기술표준원은 내년 초까지 국제표준이 반영된 국가표준(KS)을 마련해 흡입력 표시 단위를 와트로 통일할 계획이다. 또 한국에너지공단에는 무선 청소기의 에너지효율 등급 및 청소 성능을 의무적으로 표시하는 방안을 검토해달라고 요청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351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