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9개월만에 금리 인하 재시동, 파월 “고용시장 위험 증가”

본문

미국 금리 0.25%P 인하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낮췄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2기 집권 이후 첫 금리 조정으로, 지난해 12월 이후 9개월만의 금리 인하다. 기준 금리가 연 4.25~4.50%에서 4.00~4.25%로 내려오면서, 한·미 금리 차는 1.75%포인트로 줄었다.

17582086871574.jpg

김영옥 기자

17일(현지시간) Fed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통해 이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고용 시장 악화 우려가 반영됐다는 분석이 많다. Fed는 결정문에서 “올 상반기 경제 활동 성장세가 둔화했고, 물가는 상승했지만 여전히 다소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면서도 “고용에 대한 하방 위험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결정문에는 기존의 “고용시장은 견조하다”는 문구가 삭제됐다.

제롬 파월 Fed 의장도 기자회견에서 고용시장의 하방 위험을 최소 8번 이상 언급했다. 파월 의장은 “노동 수요가 줄었고, 새로 생기는 일자리 수도 실업률을 일정하게 유지하기엔 부족한 수준”이라며 “이제는 고용시장이 매우 견조하다고 말할 수 없다”고 밝혔다. 그는 “이민자 유입이 멈추면서 노동 공급 증가가 거의 없는 상황에서, 고용 수요까지 급격히 줄며 ‘이상한 균형(curious balance)’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함께 공개한 점도표에선 올해 말 기준금리 전망의 중간값이 3.6%로 나타났다. 점도표는 위원들이 제시한 금리 전망을 점으로 표시한 것이다. 점도표만 보면 현 금리 수준(4.0~4.25%)에서 연내 추가로 두 차례 인하가 가능하다는 의미다. 연내 추가 금리 인하를 예상한 위원은 전체 19명 가운데 12명이었다.

17582086874058.jpg

정근영 디자이너

다만 파월 의장은 신중론을 펼쳤다. 고율 관세에 따른 물가 상승 우려 때문으로 풀이된다. 그는 기자회견에서 이번 금리 결정을 “위험관리 차원의 인하”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불확실성에 대해 “관세 영향이 일부 상품 가격을 밀어 올리기 시작했다”며 “경제 활동과 물가 전반에 미칠 영향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고 밝혔다. Fed는 금리결정의 판단의 근거로 삼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를 올해 말 3%로 전망했다. 이는 Fed의 목표치(2%)를 크게 웃돈다. 내년 2.4% 전망도 2.6%로 상향 조정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이 강력하게 요구하는 빅컷(0.50%포인트 이상의 금리 인하)에 대해서도 파월 의장은 “회의에서 폭넓은 지지가 전혀 없었다”며 선을 그었다. 이번 회의에서 빅컷을 주장한 위원은, 최근 임명된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 스티븐 마이런 이사 단 한명이었다.

미 월가에선 “매파적 금리인하”라는 평가가 나온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향후 금리 결정이 더욱 논쟁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허진욱 삼성증권 수석연구위원은 “파월 의장이 기자회견 내내 과도하게 비둘기파(통화 완화)적이지도, 매파(통화 긴축)적이지도 않은 균형감을 유지하기 위해 주력했다”며 “시장의 금리 인하 기대를 충족시키는 동시에, 불필요한 경기 침체나 독립성 훼손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한 걸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박종우 한은 부총재보는 이날 시장상황점검회의에서 “국내 경기, 물가, 금융 안정 여건에 집중해 통화정책을 운용할 수 있는 여력이 커졌다”고 말했다. 한·미 금리 차이가 좁혀지면서 통화정책 운신의 폭이 넓어졌다는 의미다. 다만 집값 상승세가 꺾이지 않고 있어 한은은 다음달 기준금리 인하 여부를 두고 고민을 이어갈 걸로 전망된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512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