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봉준호의 제언 “스토리텔링으로 관객 매료, 본질은 불변”

본문

17582159491255.jpg

18일 ‘글로벌 미디어 컨퍼런스’에 참석한 봉준호 감독. 전민규 기자

“영화를 만드는 입장에서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보다 극장이 사랑스러울 수밖에 없죠. 보는 사람이 ‘일시 중지’ 버튼을 누를 수 없잖아요. 그런데 이제 세상이 바뀌었어요. 빠르게 달리는 지하철 안에서도 핸드폰으로 영화를 봐요. 이제 창작자는, 너무나 재밌어서 ‘도저히 중지 버튼을 누를 수 없는’ 영화를 만들어야 해요. 극장의 환경, 구조에 의존하는 게 아니라요.”

18일 열린 ‘글로벌 미디어 컨퍼런스’에서 봉준호 감독이 한 말이다. 그는 대담자인 마크 톰슨 CNN 최고경영책임자(CEO)가 “넷플릭스 등 OTT가 나오며 사람들이 극장에 가지 않는다”고 지적하자 이렇게 답했다.

이날 컨퍼런스의 주제는 ‘혼돈의 시대, 경계를 넘는 혼종’. ‘이름이 곧 장르’가 된 봉 감독에게 딱 맞는 주제였다. 그의 작품은 한 가지의 장르, 정서, 기법으로 설명할 수 없다. ‘괴물’에선 전형적인 괴수 영화의 서사와 가족 드라마, 신랄한 사회 풍자를 함께 담았고, ‘기생충’에선 코미디와 스릴러, 공포물을 자유롭게 넘나들었다. 장르뿐 아니다. 2017년 봉 감독은 국내에선 최초로 넷플릭스가 제작에 참여한 영화 ‘옥자’를 연출하며 유통 플랫폼을 선택하는 데 있어서도 유연한 행보를 보였다.

관련기사

  • K컬처의 비법, 혼종에 있다

  • 이수만의 비전 “한국, 세계문명 설계하는 프로듀서 나라로”

  • “저널리스트, 크리에이터 되면 안돼”

  • 매기 강의 비결 “이야기·관객 접점 찾기, 그게 시작이었다”

  • 웹툰·숏폼·K예능 제작자, 아이돌 프로듀서…그들이 본 K콘텐트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에 대해 봉 감독은 “TV, 인터넷, 케이블, 스트리밍 등 영화를 위협하는 도전은 끊임없이 이어져 왔고 그때마다 영화는 구시대의 산물인 것으로 취급됐다”며 “하지만 스토리텔링으로 관객을 매료시킨다는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영화 마케팅을 위해 마케터나 배급자들이 늘 내 작품이 어떤 장르인지 물어보는데 그때마다 한마디로 대답하지 못하는 고충을 겪고 있다”면서 “(장르가 불분명한) 이런 특징이 내 영화의 강점이다”고 했다.

최근 화두로 떠오른 AI(인공지능)에 대해서는 “흥분되기도, 두렵기도 한 존재”라고 했다. 그는 “영화 ‘미키 17’에서 한 화면에 두 미키(로버트 패틴슨)가 나오는 장면을 만들기 위해 AI의 도움을 받았다”며 “기술이 어떻게 인간성을 위협하는지 보여주는 영화에서조차 AI를 도구로 사용하는 게 우리가 처한 현실”이라고 말했다.

톰슨 CEO는 대담 내내 “‘괴물’을 봤을 때의 신선한 충격을 잊을 수 없다” “봉 감독은 나의 영웅”이라며 ‘팬심’을 드러냈다. 봉 감독은 “CNN 역시 가짜뉴스의 위협을 받지 않느냐” 등 언론이 처한 위기에 대한 질문을 던졌다. 봉 감독이 “새로 만들 영화 속 뉴스 리포팅 장면에 CNN 로고를 쓰게 해달라”고 요청하자 톰슨 CEO가 즉석에서 “하겠다”고 수락하며 객석에서 웃음이 터지기도 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533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