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왕세자빈 바라보며 함박미소 띤 트럼프…英만찬장 모습 눈길
-
5회 연결
본문

케이트 왕세자빈(맨왼쪽)과 마주보며 웃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 로이터=연합뉴스
영국을 국빈 방문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위해 찰스 3세 국왕이 성대한 만찬을 열자 참석한 귀빈과 자리 배치도에도 이목이 쏠렸다.
17일(현지시간) 영국 윈저성의 연회장 '성 조지홀'에 귀빈 160명이 모였다. 47.3m 길이의 대형 테이블을 따라 금빛 테두리의 붉은색 의자들이 흐트러짐 없이 늘어섰고, 이 자리를 채운 귀빈들의 배치도는 다채로운 뒷얘기를 낳았다.
이런 만찬 행사의 자리를 배정하는 데에는 짧게는 며칠, 길게는 몇 주가 소요된다고 18일 더타임스 등 영국 언론은 전했다. 이번 만찬의 귀빈 배치는 영국 외무부와 왕실이 결정한 것으로 전해졌지만 영국 총리실과 미국 백악관이 자리 조율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했을 것이라고 가디언은 짚었다.
만찬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테이블 중앙인 국왕과 케이트 미들턴 왕세자빈 사이에 앉았다. 특히 이날 트럼프 대통령과 왕세자빈을 함께 담은 사진이 이목을 끌었다. 그가 왕세자빈을 바라보며 함박웃음을 짓고, 왕세자빈도 은은한 미소를 띠는 모습이 포착된 것이다.
텔레그래프는 왕세자빈은 밝은 표정을 지으며 자신이 기분이 좋다는 점을 보여주려는 듯했으며 트럼프 대통령도 행복한 얼굴로 그와 눈을 마주쳤다고 해설했다.

티파니 트럼프(왼쪽)와 팀 쿡 애플 CEO. 로이터=연합뉴스
만찬에는 트럼프 대통령의 딸 티파니와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도 참석했다. 두 사람이 나란히 앉도록 배치된 것을 두고는 쿡이 트럼프 대통령의 신임을 다시 얻었다는 신호가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다.
쿡은 트럼프 대통령의 첫 집권기부터 우호적 관계를 이어왔지만,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강경한 관세 정책 등을 둘러싸고 불화설이 나왔다. 지난 5월 트럼프 대통령은 애플이 미국 내수용 아이폰 생산 거점을 중국에서 인도로 이전한다는 언론 보도와 관련 "쿡과는 약간의 문제가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이날 귀빈 명단에 언론 재벌인 루퍼트 머독이 포함된 것을 놓고 의외라는 평가도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머독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과거에 그가 '성범죄자' 제프리 엡스타인에게 외설스러운 그림을 그려 넣은 편지를 보냈다는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의 보도를 문제 삼으며 WSJ과 모기업 창립자인 머독 등을 상대로 약 100억달러(약 14조원) 규모의 소송을 제기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