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자연이 발견해준 건축, 풍토에서 비롯된 조형...건축가 이타미 준의 글과 생각[BOOK]
-
3회 연결
본문

책표지
이타미 준 나의 건축
이타미 준 지음
김난주 옮김
마음산책
"누군가가 '아름다움이란 보는 사람의 발견이고 창작'이라고 말했는데, 저는 요즘은 오히려 자연을 보는 사람이 자연에서 아름다움을 발견하는 게 아니라, 자연이 보는 이가 발견하도록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요."

'석채의 교회' 전경 [사진 마음산책]
건축가 이타미 준(1935~2011)이 건축평론가와 대담하며 한 말이다. 그는 일본에서 나고 자란 재일한국인 2세. 평생 '유동룡'이라는 한국 이름으로 살았다. '이타미 준'은 스스로 만든 예명. 한국에서는 특히 '포도호텔' '방주교회' '수·풍·석미술관' 등 제주도에 자리한 건축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2022년에는 그의 작품 세계에 초점 맞춘 '유동룡미술관'도 개관했다.
이 책은 1970년대~2000년대 쓴 여러 글과 대담 등을 통해 그의 생각과 그 바탕을 짐작하게 한다. 성장기에 대한 단편적 정보와 더불어 조선의 백자와 민화 등을 비롯해 한국의 전통과 문화에 대한 깊고 넓은 관심부터 눈에 띈다. 종묘 같은 대표적인 제의적 건축에 대한 견해만 아니라, 작고 소박하고 담장이 낮아 자연의 구릉과 어우러지는 듯한 한국의 민가에 대한 애정 역시 신선하게 다가온다.

'먹의 암' 스케치. 이타미 준이 아틀리에이자 주거 공간으로 사용한 곳이다. 본래는 낡은 건물을 재건축할 계획이었는데 건축의 주인인 듯한 아름드리 벚나무 두 그루를 도저히 베어낼 수 없어 재건축 대신 개조를 했다고 한다. [사진 마음산책]
화가 박서보의 안내로 1970년대 인사동을 처음 둘러본 일을 비롯해 여러 문화예술인과의 교류도 드러난다. 특히 김중업에 대해서는 그를 프랑스 작업실로 찾아가 만난 일을 비롯해 이 "전위의 운명을 지닌 건축가"에 대한 각별한 애정이 생생히 전해진다.
무엇보다 건축에 대한 그의 여러 생각이 흥미롭다. 이를테면 일본 홋카이도에 자리한 '석채의 교회'를 두고는 "자연과 대화하는 방식으로 건축한 것이 아니라, 자연이 발견하게 해준 건축"이라고 말한다. 그 자연과 환경의 특징 속에서 이 건축에 점이나 선이 아니라 덩어리, 즉 돌을 쓴 이유를 전하며 그는 "풍토에서 비롯된 조형이어야 산 조형이 될 수 있다"고 말한다.
현대 건축이 사람의 온기와 야성미가 부족하다는 그의 비판은 흙, 돌, 바람, 물, 불 등 "자연의 원초적 재료"의 강점에 대한 시각과도 맞물린다. 그의 건축은 자연의 재료, 그 지역의 풍토에서 나온 재료를 사용할 뿐 아니라 나아가 그곳을 찾는 이들에게 자연 자체를 숙고하고 명상하는 경험을 불러내기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주도에 자리한 '두손미술관' 전경. 이타미 준은 "'소녀의 얼굴을 닮은 섬'안 산방산을 염두에 두고 염원을 담은 공간을 설계의 출발점으로 삼았다"고 했다. [사진 김용관]
책에는 "언젠가 폐허가 되더라도 빛나는 건축", "폐허가 될 만한 가치가 있는 건축", "아테네의 파르테논신전이나 로마의 판테온신전처럼 그 일대가 폐허가 되더라도 가치를 지닐 수 있는 건축"에 대한 지향도 나오는데, 결연함마저 느껴진다.
그는 '손의 건축가'로도 불린다. 또 건축가에 앞서 화가로 데뷔하기도 했다. 컴퓨터가 아니라 손으로 하는 작업에 대한 애정과 더불어 그의 몇몇 건축 드로잉도 책에 실려 있다. 절판된 『돌과 바람의 소리』(2004)와 겹치는 글들 외에 '포도호텔' 건축주에게 쓴 편지 등은 새로 수록된 글이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