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LG전자, 멈췄던 인도 IPO 재개...1.8조 조달 전망
-
1회 연결
본문
LG전자가 인도 증시 상장에 다시 나선다.

LG전자가 인도 스리시티에 짓고 있는 현지 가전 공장 조감도. 사진 LG전자
30일 LG전자는 이사회를 열어 인도법인 지분 15%(1억 181만 5859주) 매각을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LG전자 100% 자회사인 인도법인을 현지에 상장하며, 회사가 보유한 지분 15%를 매각해 본사로 자금을 조달하려는 것이다.
LG전자는 곧 인도증권거래위원회(SEBI)에 최종 증권신고서를 제출할 계획이며, 이르면 다음 달 중 기업공개(IPO) 절차가 마무리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처분일과 금액은 미정이다. 회사는 SEBI의 최종 승인 이후 공모가 범위와 처분 예정일자를 다시 공시하겠다고 밝혔다.

조주완 LG전자 대표이사 사장이 지난 3월 정기 주주총회에서 인도 사업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뉴스1
이는 5개월 간 멈췄던 인도 IPO 절차를 다시 진행하는 것이다. LG전자는 지난해 12월 인도 SEBI에 상장예비심사서류를 제출했고 지난 3월에는 상장 예비승인도 받았다. 그러나 글로벌 시장 변동성에 미국 트럼프 정부의 관세 대격변까지 덮쳐, 지난 4월 진행을 중단했었다.
인도 현지 매체에서는 공모 규모를 1150억 루피(약 1조8000억원) 안팎으로 예상한다. 이번 IPO는 신주 발행 없는 구주 매출로만 이뤄지므로, 이자 비용 등 지출 없이 조달 금액이 모두 LG전자 본사로 유입되는 구조다. LG전자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분기 말 LG전자의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1조1000억원(별도 기준). 인도 IPO 성사 시 회사의 현금성 자산은 2.6배로 불어나 재무건전성이 개선될 전망이다.

신재민 기자
LG전자는 가전·TV의 글로벌 수요 감소와 관세 충격으로, 지난 2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4%, 46.6% 줄었다. 증권가는 3분기에도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전년 동기 대비 4.1%, 18.4% 감소할 것으로 전망한다(에프앤가이드).
이에 LG전자는 지난달 MS사업본부(TV담당)부터 시작해 전사 희망퇴직을 실시해 인력 효율화를 하는 한편, 냉난방공조(HVAC) 같은 고부가가치 사업을 키우고, 인도를 포함한 동남아 시장에서 사업기회를 발굴하고 있다. LG전자는 인도 가전 점유율 1위 업체로, 지난 상반기 인도법인은 매출 2조2829억원에 순이익 2097억원을 올렸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