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스필버그 “미친 영화”…디캐프리오·숀 펜 ‘소름연기’
-
3회 연결
본문

영화 ‘원 배틀 애프터 어나더’의 밥 퍼거슨(리어나도 디캐프리오, 위 사진)은 딸 윌라(체이스 인피니티)를 납치한 군인 스티븐 J. 록조(숀 펜, 아래 사진)의 뒤를 쫓는다. [사진 워너브러더스]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이 “정말 미친 영화다. 모든 것이 최고”라고 극찬한 영화가 있다.
1일 개봉하는 영화 ‘원 배틀 애프터 어나더’(One Battle After Another)다. 세계 3대 영화제를 석권한 미국의 작가주의 거장 감독 폴 토마스 앤더슨이 각본과 연출은 물론 촬영까지 맡은 작품이다. 토마스 핀천의 소설 『바인랜드』에서 영감을 받았다. ‘매그놀리아’(2000), ‘펀치 드렁크 러브’(2003), ‘데어 윌 비 블러드’(2008), ‘마스터’(2013) 등 영화제 수상작들처럼 이번 영화도 사회와 인간에 대한 앤더슨 감독의 통찰과 예리한 시선이 번뜩인다.
러닝 타임이 162분에 달하는 영화는 혁명 조직 ‘프렌치 75’가 미국과 멕시코 국경의 이민자 구금소를 급습해 억류자들을 탈출시키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낙태 금지법에 찬성하는 의원 사무실과 정부 청사, 법원을 폭파하고, 은행까지 터는 등 이들의 행동은 점점 과격해진다.

조직의 폭탄 전문가 밥 퍼거슨(리어나도 디캐프리오)은 동료 퍼피디아(테야나 테일러)와 사랑에 빠지고, 둘 사이에 딸 윌라 퍼거슨(체이스 인피니티)이 태어난다. 그러나 스티븐 J. 록조(숀 펜)가 이끄는 특수부대가 대대적인 진압에 나서며 조직은 와해되고, 밥은 윌라와 함께 모처로 피신한다. 16년 후 대령으로 승진한 록조가 다시 나타나 윌라를 납치하자, 술과 마약에 쩔어 살던 밥은 딸을 구하기 위해 록조를 쫓기 시작한다.
이처럼 영화는 위기에 빠진 딸을 구하려는 아버지의 이야기다. 하지만 이에 머물지 않고, 차별과 혐오가 만연한 현 시대에 대한 날선 비판을 담아냈다. 대대적인 이민자 단속과 폭력 시위, 다른 인종을 혐오하는 백인 우월주의자 결사 ‘크리스마스 모험가 클럽’ 등은 트럼프 시대 미국 사회의 풍경과 놀랍도록 닮아 있다. ‘미국의 현 상황에 대한 통렬한 고발’(트리뷴 뉴스 서비스)이란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어둡고 무거운 내용을 다루면서도 범죄 스릴러·블랙 코미디로서의 영화적 재미도 놓치지 않는다. 앤더슨 감독의 영화적 ‘동지’인 조니 그린우드(록 밴드 라디오헤드의 기타리스트)의 강렬한 음악은 딸을 구하려는 아버지의 추격이란 직선적 서사에 긴박감을 더한다. 앤더슨 감독은 처음 도전한 아이맥스(IMAX) 촬영을 통해 익스트림 클로즈업, 롱테이크 트래킹 샷 등 자신의 인장과도 같은 장면들을 한층 업그레이드 된 스케일로 펼쳐 놓는다.
배우들의 열연 또한 이 영화를 봐야 할 이유 중 하나다. 16년 간 혁명 정신을 잊은 채 방탕하게 살던 밥 역의 디캐프리오는 웃기면서도 울리는 연기로 ‘역시’라는 감탄사를 자아낸다. 후반부의 정서를 장악하는 건, 록조 역의 숀 펜이다. 변태적 느낌의 마초 군인을 소름 끼치게 만들어냈다. 두 배우 모두 내년 오스카 후보에 올라도 전혀 이상하지 않을 만큼 각자의 커리어에서 최고의 연기를 보여준다.
영화는 콘텐트 평점사이트 메타크리틱에서 96점(100점 만점)을 받는 등 앞서 개봉한 북미에서 호평 받고 있다. 내년 오스카 트로피를 향한 앤더슨 감독의 본격적인 레이스가 시작됐다는 전망과 함께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