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침팬지의 어머니' 제인 구달 박사, 91세 나이로 별세
-
48회 연결
본문

제인 구달 박사. AP=연합뉴스
세계적으로 저명한 동물학자이자 환경운동가로 활동해 온 '침팬지의 어머니' 제인 구달 박사가 1일(현지시간) 91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제인 구달 연구소는 이날 인스타그램에 "연구소 설립자인 구달 박사가 미국 강연 투어로 캘리포니아에 머물던 중 이날 오전 잠든 상태에서 평화롭게 세상을 떠났다"고 밝혔다.
이어 "동물학자로서 구달 박사의 발견은 과학에 혁명을 일으켰고, 그는 우리 자연계 보호와 복원을 지치지 않고 옹호했다"며 "그의 삶과 직업은 침팬지와 다른 종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인간과 우리 모두가 공유하는 환경에 지울 수 없는 흔적을 남겼다"고 말했다.
또한 "구달 박사는 전 세계 수많은 사람에게 호기심, 희망, 연민을 불러일으켰고 많은 이들에게, 특히 미래에 대한 희망을 준 젊은이들에게 길을 열어주었다"고 덧붙였다.
1934년 영국 런던에서 태어나 본머스에서 성장한 구달 박사는 어려운 형편으로 대학에 가지 못하고 런던에서 비서로 일했다.
이후 그의 인생은 1957년 한 친구의 초대로 찾은 케냐에서 저명한 고인류학자 루이스 리키를 만나면서 바뀌었다.
탄자니아 서쪽의 곰베 지역에서 야생 침팬지 연구를 시작한 구달 박사는 인간 고유의 특성으로 여겨졌던 도구 제조와 사용을 야생 침팬지가 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를 1964년 네이처에 발표하면서 학계에 바람을 일으켰다.
기존 연구가 포획 상태의 침팬지에 대해 이뤄졌다면, 구달 박사는 장기간 야생 상태의 침팬지를 체계적으로 관찰·연구하는 방식으로 동물행동학의 선구자로 자리 잡았다.
그는 케임브리지대에서 동물행동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내셔널 지오그래픽 등의 방송을 통해 세계적 명성과 더불어 '침팬지의 어머니'라는 별칭을 얻었다.
구달 박사는 침팬지 서식지가 사라지는 문제를 해결해야만 침팬지를 보호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 환경 운동을 시작했다. 이후 1977년 곰베 연구 지원과 아프리카 환경 보호를 위해 본인의 이름을 딴 비영리 연구소를 설립했다.
그는 연평균 300일을 세계 각국을 돌아다니며 현지 당국·지역사회와 만났고, 자연 보전을 위한 인간의 변화를 호소했다. 이 같은 세계여행은 90대가 되도록 계속됐다.
1991년에는 어린이를 환경운동가로 성장시키는 프로그램 '뿌리와 새싹'(Roots and Shoots)을 출범시켰다. 탄자니아 어린이 10여명으로 시작한 이 프로그램은 현재 100여개국 10만명을 대상으로 한다.
그는 베스트셀러가 된 '희망의 이유: 자연과의 우정, 희망 그리고 깨달음의 여정'과 여러 아동 서적 등 30여편을 내기도 했다.
한편 구달 박사는 1964년 네덜란드 사진작가 휘호 판 라빅과 결혼해 아들을 1명 뒀지만 1974년 이혼했다. 1975년 재혼한 탄자니아 국립공원 관리자 데릭 브라이스슨과는 1980년 사별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