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이게 국악이냐고?…‘냄뚜’의 신나는 상모 돌리기

본문

btffc8e396cbb04da5be1684ec5c6ff629.jpg

국악 크리에이터이자 밴드 오름새의 보컬인 송창현씨가 블랙핑크의 제니가 부른 ‘라이크 제니(like JENNIE)’에 맞춰 춤을 추며 상모를 돌리고 있다.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불 꺼진 무대 위, 버킷햇(벙거지 모자)을 눌러 쓴 청년이 등장했다. 그가 드럼 소리에 천천히 고개를 들자, 발끝 아래로 늘어진 초리(상모 끝 긴 끈)가 스르륵 곡선을 그렸다. “다 같이 손잡고 떼루(떼로) 놀자”며 동행을 권하는 청년의 구성진 목소리가 절정을 향해 갈 때 쯤, 음악이 멈췄다. 템포를 높여 다시 시작된 음악은 곧장 속주로 내달렸다. 록 사운드에 얹어진 태평소의 요란한 선율, 기타의 화려한 스케일, 그리고 돌고, 돌고, 또 도는 청년. 그의 양발이 바닥에 닿을 새 없이 허공을 갈랐다.

1일 오후 경기 의왕시 한 스튜디오에서 국악·연희 크리에이터이자 국악 밴드 ‘오름새’의 보컬인 송창현(28)씨가 자신의 자작곡 ‘떼루(Together)’의 연주 영상을 촬영하고 있었다. 송씨는 지난 2021년부터 세계 곳곳에서 촬영한 상모돌리기 쇼츠로 전 세계인의 주목을 받았던, 일명 ‘냄뚜(namttoo)’로 알려진 국악인이다. 냄뚜는 냄비뚜껑의 줄임말로, 상모와 비슷하게 생겼다는 이유로 본인이 붙인 별칭이다.

그는 최근까지도 꾸준히 살풀이, 사물놀이, 창극 등 다양한 전통 무대에 올랐다. 이번 추석 연휴에는 6일 한국국제교류재단이 주최하는 ‘한국-중앙아시아 문화의 날’ 공연에 ‘오름새’ 밴드로, 8·9일 남산골에서 열리는 판소리페스티벌에는 ‘공중제비전’의 조연으로 무대에 선다.

bt643cf12ca2e7da06bdbc061df11dd6ae.jpg

송씨가 상모를 쓰기 전 거울을 보며 머리와 옷매무새를 정리하고 있다.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그가 장르를 가리지 않고 다양한 무대에 설 수 있는 건 7살 때부터 닦아온 탄탄한 기본기 덕분이다. 송씨는 중앙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다니던 어린이집의 방과 후 강사로 온 12발 상모 명인 이금조 선생님께서 ‘재능이 있다’며 국악을 권하셨다”며 “이후 10여 년 간 매주 선생님의 연습실에 가서 상쇠(사물놀이의 리더)가 해야 할 모든 걸 배웠다”고 말했다.

초등학교 4학년쯤엔 상모 돌리기로 무대에 설 수 있을 정도로 실력이 올라왔다. 그는 “얼굴을 조이는 상모 끈이 아팠고, 모자는 무거웠고, 선생님의 꾸지람도 싫었지만 무대에만 서면 그런 아쉬움이 다 사라졌다”고 말했다.

국립전통예술고등학교를 거쳐 한국예술종합학교 연희과에 입학했지만 오랫동안 마음에 품었던 의문이 고개를 들었다. 그는 “대학에 왔는데도 10년 간 했던 음악을 반복하고 있던 내 자신을 발견하며 번아웃이 왔다”며 “그런 채로 해군 사물놀이병으로 입대했고, 임무 수행 시간 외엔 1년 6개월 간 악기 연습을 하지 않았다”고 털어놨다.

반환점은 우연히 찾아왔다. 2021년 두바이 엑스포 K팝 공연에 참여하면서다. 송씨는 주최 측의 요청으로 비보잉 등 다양한 분야의 댄서들과 함께 K팝에 맞춘 상모 퍼포먼스를 준비하게 됐다. 공연을 마친 후 댄스팀 동생들과 함께 놀러 간 사막에선 12발 상모(초리가 긴 상모)를 쓴 채 모르는 팝송에 몸을 맡기고 느낌 가는 대로 움직였다. 동생들이 촬영해 준 영상은 열광적인 반응을 얻었다.

‘이게 국악이냐’ ‘차마 못 보겠다’는 국악계 반응도 들렸지만 계속 쇼츠를 올렸다. 송씨는 “국악을 모르는 분들을 설득할 좋은 수단이라고 생각했다”며 “무엇보다 저만이 할 수 있는 퍼포먼스라는 게, 이 분야만은 제가 최초이자 최고라 할 수 있다는 게 기뻤다”고 했다.

도전은 계속된다. 올해 그는 기타리스트, 드러머, 키보디스트, 그리고 국악인 친구들과 함께 국악 밴드 ‘오름새’를 결성해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는 경연대회 ‘21세기 한국음악 프로젝트’에서 창작곡 ‘떼루’를 연주했다. 결과는 대상. 송씨는 작사·작곡을 도맡은 건 물론이고 무대 위에서 노래하고 꽹과리를 치며 상모까지 돌린다. 상을 받은 5월 이후 꾸준히 공연 의뢰가 들어왔고 함께 했던 객원 주자들은 정식 멤버가 됐다.

끊임없이 달리고 있는 이 젊은 국악인의 종착지는 어디일까. 그는 “세계적 인기를 끌고 있는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에서 힌트를 얻고 있다”고 말했다.

“(케데헌이 한국 전통문화를 현대적 감각으로 풀어냈듯) 우리가 전통의 모든 걸 고수할 필요는 없어요. 사람들이 관심 있어 하는 것에 귀를 기울이고 끊임없이 변화를 모색해야 저도, 국악도 사랑받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221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