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트럼프 선불 부당’ 80.1%…여론 업고 트럼프 비판 키우는 與
-
13회 연결
본문

김준형 조국혁신당 의원이 2일 서울 종로구 주한미국대사관 앞에서 열린 미국의 부당한 대미투자 요구 철회 촉구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뉴스1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미 관세 협상과 관련해 “한국으로부터 받는 3500억 달러(약 493조원)는 선불”이라고 발언한 이후 미국에 대한 부정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 여권은 추석 연휴를 앞두고 트럼프에 대한 비판 메시지를 앞다퉈 냈다.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지난 1~2일 무선 임의 전화걸기(RDD) 자동응답(ARS) 방식으로 조사해 3일 발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미국의 대미 투자 선불 지급 요구에 ‘부당하다’는 응답은 80.1%를 기록했다. 대구·경북(84%)과 광주·전남·전북(84.8%)에서 ‘부당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비슷할 정도로 지역별 격차도 거의 없었다. 리얼미터는 “최근 한국인 구금 사태와 맞물려 ‘협박성 요구’로 인식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달 29일부터 지난 1일까지 전화 면접 방식으로 진행한 전국지표조사(NBS)에서도 ‘우리 경제 사정상 현금성 직접투자는 적절치 않다’는 답변은 55%로 ‘현금성 직접투자를 하더라도 관세율을 낮추는 게 적절하다’(29%)는 응답을 크게 앞질렀다.
이런 상황에서 더불어민주당·조국혁신당·진보당·사회민주당 소속 의원 12명은 연휴 시작을 하루 앞둔 지난 2일 서울 종로구 주한미국대사관을 방문해 시위를 벌였다. 이들은 ‘동맹 무시, 경제 침탈’이라는 피켓을 들고 규탄 발언을 한 뒤 주미대사관에 항의 서한을 전달했다. 이재강 민주당 의원은 페이스북에 “트럼프가 요구한 ‘선불 투자’는 대한민국을 현금인출기로 취급하는 부당한 요구”라며 “‘현금 선불’ 발언을 취소하고 3500억 달러 요구를 철회하라”고 썼다. 박선원 민주당 의원도 “우리는 급하지 않다. 버티는 것도 협상의 중요한 전술”이라며 “대한민국은 미국의 협력 주체이지 압력의 대상이 아니다”라고 썼다.

이재명 대통령이 2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관세 협상과 관련한 반미 정서가 확산하는 사이, 중국을 바라보는 여권의 태도는 사뭇 다른 분위기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2일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혐중 시위’에 대해 “국가 이미지를 훼손하는 자해 행위”라고 언급한 다음날인 3일 더불어민주당은 관련 법안을 발의했다. 김태년 민주당 의원은 이날 혐중 시위를 차단하는 ‘혐오 집회 금지법’(집회 및 시위에 관한 개정안)을 발의했다. 특정 인종·특정 국가의 국민·장애인 등 식별 가능한 집단에 대한 차별·혐오 또는 폭력을 선동하거나 조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집회를 금지하는 내용이다. 김 의원은 “최근 혐오 시위는 극우 세력의 부정선거 음모론부터 시작돼, 사회에 심각한 물의를 일으킨다는 점에서 과거 양태보다 더 심각하다”고 했다. 또 “내수가 어려운 만큼 중국인 관광객이 내수를 활성화하는 데 도움을 줘야 한다”고 했다.
국민의힘은 “누구 보고 특정 국가 혐오를 운운하나”라며 비판하고 있다. 나경원 의원은 전날 페이스북에 “이 대통령의 혐오 조장 궤변에 기가 막힌다. 누가 특정 국가를 들먹이며 혐오를 조장하느냐”며 “후쿠시마 오염수 괴담 반일 선동, 사드·광우병 괴담 반미 선동은 민주당 특기”라고 썼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