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서울 아파트값 상승에, 시가총액 올 들어서만 150조원 상승

본문

bt32876982aa0549d7260771d784dfc3b1.jpg

1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 뉴스1

올해 서울 아파트값이 상승세를 보이면서 서울 아파트 전체 시가총액이 작년 말보다 150조원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부동산R114 조사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시가총액은 올해 9월말 기준 약 1781조원으로 지난해 말 1630조원에서 9.3% 증가했다. 이는 전국 아파트 시가총액이 지난해 말 3969조원에서 9월 말 기준 4141조원으로 약 4.3% 늘어난 것에 비하면, 서울 증가 폭이 2배 이상이다.

6ㆍ27 대출 규제 직후 서울 지역 아파트 거래가 크게 줄고, 일시적으로 가격 상승세도 주춤했다. 하지만 지난달부터 ‘풍선 효과’가 나타나면서 비규제지역인 성동ㆍ마포ㆍ광진ㆍ동작구 등 강북 한강벨트를 중심으로 가격이 오름세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9월 넷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19% 상승하며 3주 연속 오름세를 이어갔다.

특히 일반 아파트보다, 재건축 단지의 시가총액이 상대적으로 많이 늘었다. 9월 말 기준 서울 재건축 단지의 시가총액은 약 336조원 선으로 지난해 말(302조원)에 비해 11.3% 증가했다. 재건축을 제외한 일반 아파트 시총은 1328조원에서 1445조원으로 약 8.8% 늘었다.

서울 다음으로는 세종시의 시총이 작년 말 60조5000억원에서 현재 63조8000억원 선으로 약 5.4% 증가했다. 경기도 아파트의 시총은 작년 말 1161조원에서 현재 1179조원 선으로 1.5% 정도 늘어나는 데 그쳤다.

정비사업을 추진 중인 1기 신도시 내에서는 분당ㆍ평촌의 시가총액만 늘며 재건축 효과가 엇갈렸다. 높은 아파트 가격에 재건축 사업성이 양호하다는 평가를 받아 온 분당·평촌 위주로 시총이 올랐다. 평촌 아파트 시가총액이 지난해 말 24조4000억원에서 9월 말 25조7000억원으로 증가 폭(5.3%)이 가장 컸다. 이어 분당이 작년 말 69조9000억원에서 9월 말 기준 73조5000억원으로 5.1% 늘었다.

반면 중동은 시총 증가 폭이 0.1%에도 못 미쳤고, 산본(-1.3%)과 일산(-1.2%) 신도시는 재건축 추진에도 불구하고 시총이 지난해 말보다 하락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905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