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금관 키링’ 사러 경주 간다...고향길에 만나는 깜찍 ‘전통 굿즈’
-
7회 연결
본문

국립경주박물관에서 만날 수 있는 약사여래 찜질핫팩. 사진 국립박물관문화재단
올해 국립중앙박물관(서울 용산구)이 개관 이래 처음으로 연간 방문객 500만명을 바라보면서 박물관 기념품 매장에서 ‘뮷즈(MU:DS)’도 잇단 품절 사태를 빚고 있다. 뮷즈란 국립박물관문화재단(이하 재단)이 국립박물관 소장품을 모티브로 출시한 문화상품 브랜드. 재단 측이 자체 디자인하기도 하고 공모전을 통해 중소기업 상품을 채택·제작하기도 한다. 특히 각 지역의 국립박물관 상품관엔 소장 유물을 특화한 상품이 전략적으로 전시된다. 국립중앙박물관과 온라인숍에서도 살 수 있지만 추석 귀경길에 지역 박물관을 들른다면 ‘인증템’(인증+아이템)으로 눈여겨볼 만하다.
가장 다채로운 상품은 역시 경주에 있다. 이달 말 APEC 정상회의 개최를 앞두고 1일부터 신상 17품목도 공개했다. 키워드는 신라 금관. 오는 28일 국립경주박물관에서 개막하는 특별전에 금관총·금령총·서봉총·천마총·황남대총 북분과 경주 교동에서 출토된 금관 6점이 한데 모이는 걸 기념해 제작했다.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과 협업한 17품목 중엔 부채, 머그컵, 책갈피 등 실용품 외에도 젠Z(Z세대)들의 패션 필수품인 키링도 다채롭게 포함됐다.

국립박물관문화재단이 경주 APEC 개최를 기념해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과 협업으로 선보인 신상 뮷즈(박물관 굿즈). 천마총 금관을 재현한 키링이다. 사진 국립박물관문화재단

국립박물관문화재단이 경주 APEC 개최를 기념해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과 협업으로 선보인 신상 뮷즈(박물관 굿즈). 금관총 금관을 재현한 귀걸이와 팔찌 세트다. 사진 국립박물관문화재단

국립박물관문화재단이 경주 APEC 개최를 기념해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과 협업으로 선보인 신상 뮷즈(박물관 굿즈). 신라 금관ㆍ금귀걸이 책갈피다. 사진 국립박물관문화재단

국립박물관문화재단이 경주 APEC 개최를 기념해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과 협업으로 선보인 신상 뮷즈(박물관 굿즈). 천마총 금관ㆍ드리개를 모티브로 한 황동펜이다. 사진 국립박물관문화재단

국립박물관문화재단이 경주 APEC 개최를 기념해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과 협업으로 선보인 신상 뮷즈(박물관 굿즈). 금관총 금관을 모티브로 한 머그컵이다. 사진 국립박물관문화재단

국립박물관문화재단이 경주 APEC 개최를 기념해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과 협업으로 선보인 신상 뮷즈(박물관 굿즈)를 기존 판매상품과 함께 전시한 모습. 사진 국립박물관문화재단
국립경주박물관은 석굴암 조명 등 ‘대박 상품’ 외에 꾸준히 팔리는 스테디셀러도 여럿이다. 특히 ‘경주 얼굴무늬 수막새’(보물)를 모티브로 한 제품들이 인기다. 일명 ‘신라의 미소’로 불리는 이 수막새는 아래턱 일부가 없어졌지만 이마와 두 눈, 오뚝한 코, 잔잔한 미소가 조화를 이뤄 디자이너들도 “그대로 재현하기 어렵다”고 할만큼 고유한 아름다움을 지녔다. 파우치·소스볼·양우산 등 관련 상품이 다채롭다.

국립경주박물관의 지역 유물 특화상품들. 왼쪽부터 '신라의 미소' 파우치, 소스볼, 양우산. 사진 국립박물관문화재단

국가지정유산 보물 '경주 얼굴무늬 수막새'. 사진 국가유산포털
국립진주박물관에선 삼국시대 사람머리모양(인두형) 토기를 모티브로 한 ‘두기우기’가 효자 캐릭터다. 2007년 진주 금산면 중천리의 공동주택 부지를 발굴조사 하던 중 수십개의 파편으로 출토된 이 토기는 보존과학 학예사들의 노력 끝에 사람머리 형태를 되찾았다. 두기우기(頭呩祐祈)라는 이름은 ‘관람객과 즐기며 복을 기원하는 사람 머리 모양 토제품’이라는 뜻이다.

국립진주박물관이 토기 유물에서 모티브를 얻어 캐릭터 상품화한 두기우기 쿠션 담요. 사진 국립박물관문화재단

2007년 진주 금산면 중천리에서 수십개의 파편으로 출토됐다가 사람머리모양으로 복원된 토기가 국립진주박물관에 전시돼 있다. 이 토기를 활용한 '두기우기' 캐릭터 상품들이 인기다. 강혜란 기자
지역 국립박물관은 특화된 정체성을 내세워 제품 개발에 주력한다. 한복·갓 등 복식문화로 정평이 난 국립대구박물관은 한복 클립 책갈피와 흑립 갓끈 볼펜이 인기다. 특히 후자의 경우 넷플릭스 ‘케이팝 데몬 헌터스’에서 사자보이즈(극중 악령 보이그룹)가 착용한 흑립을 연상시켜 국립중앙박물관 상품관에서도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

국립대구박물관의 특성을 살린 한복 클립형 책갈피와 흑립 갓끈 볼펜. 사진 국립박물관문화재단
이 밖에도 국립전주박물관의 ‘반닫이 클러치’, 국립익산박물관의 ‘사리내호 및 사리외호 팔찌’ 등이 소장 유물을 활용한 뮷즈로 인기다.

국립전주박물관의 반닫이 클러치(왼쪽)와 주병 세트. 사진 국립박물관문화재단
국립박물관문화재단에 따르면 지난해 뮷즈 판매액은 약 213억원으로 전년 대비 42% 증가해 역대 최고치였다. 올해는 8월 한달에만 52억원이 넘는 매출을 기록해 지난해 기록을 너끈히 뛰어넘을 전망이다.

국립박물관문화재단이 국립중앙박물관 등에서 인기리에 판매 중인 뮷즈(박물관 굿즈) 가운데 까치호랑이 배지. '케이팝데몬헌터스' 인기와 맞물려 품절 사태를 빚고 있다. 사진 국립박물관문화재단

국립박물관문화재단이 국립중앙박물관 등에서 인기리에 판매 중인 뮷즈(박물관 굿즈) 가운데 석굴암 조명. 사진 국립박물관문화재단
석굴암 본존불 미피에 오픈런…'경주 한정판'으로 뜬 가게
경주의 핫플레이스 황리단길엔 젠Z들의 발걸음이 끊이지 않는 민간 기념품 가게도 있다. 이 가운데 ‘배리삼릉공원’은 황리단길 조성 초창기인 2016년에 문 열어 터주대감 노릇을 해왔다. 경주에서 수제 작업을 하는 이들의 작품을 구매해 이곳에서 재판매를 하기도 하고, 일반적인 기념품도 판다.

경주 황리단길의 선물가게 '배리삼릉공원'에서 판매하는 전통 굿즈들. 일부는 경주에서 수제 작업을 하는 이들의 작품으로 이곳에서 재판매한다. 강혜란 기자

경주 황리단길의 선물가게 '배리삼릉공원'에서 판매하는 문화유산 모티브의 굿즈들. 강혜란 기자
1986년 경주 용강동 고분에서 출토된 신라 토용을 그대로 재현한 ‘작품’들도 있다. 길이 12∼21㎝에 홀(笏:신하가 아침에 임금에게 문안을 올릴 때 예를 갖추기 위해 두 손에 모아쥐던 패)을 갖춘 모습으로 출토됐던 문인상·무인상과 여인상 등을 다양한 크기로 만날 수 있다.

경주 황리단길의 선물가게 '배리삼릉공원'에서 판매하는 전통 굿즈들. 일부는 경주에서 수제 작업을 하는 이들의 작품으로 이곳에서 재판매한다. 강혜란 기자

경주 황리단길의 선물가게 '배리삼릉공원'에서 판매하는 문화유산 모티브의 굿즈들. 강혜란 기자
지난해 말 문을 연 ‘미피스토어’는 인스타그램 등의 입소문을 타고 신흥강자로 떠올랐다. 네덜란드의 일러스트레이터인 딕 브루너가 만든 토끼 캐릭터 ‘미피’가 주인공으로 거제·부산에 이어 경주가 전국 세 번째 매장이다. 고즈넉한 한옥 외관에 ‘석굴암 미피’ 등 경주에서만 살 수 있는 경주 에디션 상품들로 인해 ‘오픈런’ 경쟁이 치열하다.

경주 황리단길 '미피스토어'는 토끼 캐릭터 ‘미피’와 경주 문화유산의 만남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반가사유상 미피와 석굴암 미피 등 경주 한정판 상품들은 '오픈런' 경쟁까지 부른다. 강혜란 기자

경주 황리단길 '미피스토어'는 토끼 캐릭터 ‘미피’와 경주 문화유산의 만남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반가사유상 미피와 석굴암 미피 등 경주 한정판 상품들은 '오픈런' 경쟁까지 부른다. 강혜란 기자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