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금요일엔 은행 창구 1시간 먼저 닫는다…'주4.5일제'는 내년 …

본문

btc8f5815f171205c212c81a87cd5c7f7d.jpg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조합원들이 지난달 26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네거리 인근에서 열린 총파업 대회에서 주 4.5일제, 임금인상 등을 촉구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25.9.26/뉴스1

앞으로 주요 시중은행의 금요일 영업시간이 1시간 당겨질 전망이다. 은행원들이 속한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이하 금융노조)이 3일 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사측)와 ‘금요일 1시간 단축 근무 시행’에 대해 잠정 합의했다고 밝히면서다. 다만 ‘주 4.5일제’ 관련 후속 논의는 내년 임금단체협상(임단협)에서 이어가기로 했다.

이번 잠정 합의안에는 임금 3.1% 인상, 금요일 1시간 단축 근무 시행, 2026년 주 4.5일제 논의 추진 등이 담겼다. 금융노조가 지난달 26일 주 4.5일제 도입을 요구하며 약 3년 만에 총파업에 나선 지 일주일 만이다.

금융노조가 밀어붙인 주 4.5일제는 도입에 앞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논의를 거치기로 했다. TF에서 올해까지 주 4.5일제 도입에 필요한 논의 대상과 자료를 수집ㆍ정리한 뒤 내년 임단협에서 제도 도입을 협의한다는 계획이다. 김형선 금융노조 위원장은 “주 4.5일제 도입을 향한 첫발을 뗀 것”이라며 “이번 협상을 시작으로 노동시간 단축을 위한 투쟁을 이어나가겠다”고 밝혔다.

사측과 금융노조는 금요일 1시간 단축 근무 시행엔 잠정 합의했다. 금융노조가 주장했던 사안이다. 업계에 따르면 각 은행 창구 영업시간을 기존 오전 9시~오후 4시에서 오후 3시까지 단축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단축 시기와 방법 등은 추석 연휴가 끝난 뒤 각 은행 지부별 노조가 사측과 협의해 정한다. 금융노조가 은행권 전체를 대표해 교섭을 진행한 만큼, 이번 잠정 합의가 가이드라인(기준선)이 될 전망이다.

금융노조 측은 “오는 13일 각 지부 대표자 회의를 통해 합의 내용을 공유하고, 구체적인 시행 날짜는 노사 간 협의를 거쳐 확정할 예정”이라며 “가능한 이른 시일 내에 시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은행 창구 마감 시간이 당겨질 경우 소비자의 불편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도 크다. 대면 고객 서비스를 제공하는 은행업 특성상 근로 시간 단축은 고령층 등 고객 불편으로 이어질 수 있어서다.

이에 대해 사측은 “금요일 1시간 조기 퇴근은 현행 영업시간 유지를 전제로 기관별 상황에 따라 자율적으로 시행하는 방향으로 합의된 사항”이라며 “앞으로 산별노사 간 조율을 통해 최종안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평균 연봉 1억원이 넘는 은행원들의 근무시간 단축 요구에는 곱지 않은 시선도 뒤따른다. 금융감독원 등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은행(특수ㆍ지방은행 포함) 직원 10만9625명의 연간 급여 총액은 12조3147억원으로, 1인당 평균 1억1233만원에 이른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924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