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한국 발레 위상 맞는 레퍼토리 있어야…25살 인어공주, 100년 공연 출발점”

본문

“몸을 좀 더 써야지.”
지난달 22일 서울 서초구 서초동 한국예술종합학교(한예종) 무용원 연습실. 오는 10일 서울 장충동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막을 올리는 전막 발레 ‘인어공주’의 리허설이 한창이었다. 연출자인 김선희(66) 한예종 명예교수는 2시간여 리허설 내내 무용수들의 몸짓 하나하나를 유심히 지켜봤다. 때론 직접 포즈를 취하며 꼼꼼한 지적을 이어갔고, 박수로 독려하기도 했다.

'인어공주' 연출 김선희 한예종 명예교수

bte4cb2ef98eae3ae9902b1c3c180f9ecf.jpg

김선희 한예종 명예교수가 지난달 22일 서울 서초동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연습실에서 열린 '인어공주' 리허설을 지휘하고 있다. 권혁재 기자

“‘인어공주’를 시집보내는 친정엄마의 심정으로 이번 무대를 준비했습니다.”

김 교수는 1997년 파드되(2인무) 소품으로 만든 ‘인어공주’를 2001년 전막 발레로 확장·연출했다. 초연 25년째인 올해 한예종 K아츠발레단이 선보일 ‘인어공주’에 대해 “음악, 안무, 무대 디자인, 무대 장치, 의상까지 모두 새롭게 단장했다”라고 했다.

‘인어공주’는 안데르손의 동명 동화를 소재로 한 창작 발레다. 올해 음악은 러시아 마린스키 극장 오케스트라 지휘자 안톤 룹첸코가 전면 손질해 직접 지휘한다. 의상 역시 마린스키 극장의 의상 디자이너 타티야나 노기노바의 손을 거쳤다. 무대는 대한민국 오페라 대상 예술상 수상자인 신재희 무대 디자이너가 작업했다.

특히 김 교수의 제자인 한예종 출신 안무가 겸 교수 유회웅이 재안무자로 참여했다. 유회웅은 지난해 경연 프로그램 ‘스테이지 파이터’에 출연하고, 지난 8월 서울시발레단을 통해 ‘노 모어(NO MORE)’를 선보이는 등 최근 가장 주목받는 안무가 중 하나다. 역시 김 교수를 사사한 스타 발레리노 출신 한예종 무용원 교수 김현웅이 협력 안무가로 힘을 보탰다.

bta5fdabe6032621206111915da80e9fa5.jpg

김선희 한예종 명예교수가 지난달 22일 서울 서초동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연습실에서 열린 '인어공주' 리허설을 지휘하고 있다. 2001년 초연한 '인어공주'는 오는 10~12일 서울 장충동 국립극장에서 25주년 공연을 한다. 권혁재 기자.

김 교수는 “룹첸코가 대서사적인 드라마를 담아낸 새로운 음악을 선보이고, 유회웅·김현웅 두 안무가는 원작의 핵심을 살리면서도 현대적 감각과 에너지를 불어넣었다”라고 설명했다. 또 “새롭게 구현된 바닷속과 궁정 무대, 그리고 바다 생물의 의상이 한층 환상적인 무대를 구현할 것”이라고 자신했다.

‘인어 공주’는 이미 한국 발레계에 뚜렷한 발자국을 남겼다. 1200석 규모 대극장에서 처음 올린 2023년 공연 때 전석 매진을 기록했을 뿐 아니라 미국·이탈리아· 싱가포르 등 해외 무대에도 올랐다. 한국 발레 중흥기를 이끄는 스타 무용수들도 한예종 재학 시절 ‘인어공주’를 통해 본격적인 무대 경험을 쌓았다. 프랑스 파리오페라발레의 에투알(수석) 박세은, 네덜란드 국립발레 수석 최영규, 보스턴발레 수석 한서혜와 채지영, 로열발레 솔리스트 전준혁, 러시아 마린스키 발레의 수석 무용수 김기민과 솔리스트 전민철 등이다.

bt69c777c3d9639ef52ea3dd1db6d70960.jpg

김선희 한예종 명예교수가 지난달 22일 서울 서초동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연습실에서 열린 '인어공주' 리허설을 지휘하고 있다. 2001년 초연한 '인어공주'는 박세은, 최영규, 한서혜, 최지영, 전준혁, 김기민, 전민철 등 세계적인 무용수들이 거쳐갔다. 권혁재 기자.

김 교수는 “누구나 알고 있는 고전 동화의 이야기 구조와 이를 발레로 풀어낸 드라마틱한 전개가 관객들에게 꾸준히 공감과 감동을 준 것 같다”라며 “젊은 무용수들의 도전과 성장을 담아내며, 그 에너지가 무대 위에서 살아 움직이는 것도 이 작품의 큰 장점”이라고 말했다.

이어서 그는 “세계 최고 발레단에서 주역으로 활동하는 무용수들이 즐비할 정도로 한국 무용수의 위상은 이미 최고 수준에 올랐다”면서 “이에 걸맞은 한국 발레 레퍼토리 작품도 나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25살 ‘인어공주’에 큰 변화를 준 이유다. 그는 “‘인어공주’가 100년 넘게 무대에 오를 수 있도록 하는데 이번 공연이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 같은 기대를 뒷받침하는 게 젊은 무용수들의 탄탄한 재능. 한예종에 재학중인 출연진 40명의 평균 연령은 21살이지만 기량은 충분하다는 게 김 교수의 평가다. 그는 “21살인 전민철도 마린스키의 솔리스트가 됐다”라며 “이번 ‘인어공주’에 출연하는 학생들은 충분히 전막 공연에 오를만한 실력을 갖추고 있다”라고 했다.

btae29eed81f3640eb588c20176589910d.jpg

김선희 한예종 명예교수가 지난달 22일 서울 서초동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연습실에서 열린 '인어공주' 리허설에서 무용수들을 살펴보고 있다. 이번 작품에는 김 교수의 제자인 유회웅과 김현웅이 재안무 및 협력안무에 참여했다. 권혁재 기자.

실제 주역 ‘인어공주’를 맡은 손민지는 지난해 미국 ‘유스 아메리카 그랑프리’(YAGP)에서 시니어 여자 솔로 3위, 시니어 파드되 1위를 차지했다. 역시 ‘인어공주’를 연기하는 김민진도 올해 코리아 국제발레콩쿠르 시니어 은상을 받았다. ‘왕자’ 역인 이강원과 성재승도 각각 2023년 미국 잭슨 국제발레콩쿠르 주니어 남자 은상, 올해 YAGP 시니어 남자 솔로 2위 및 시니어 파드되 1위를 차지했다. 인어공주와 왕자 사이를 갈라놓는 ‘마법 문어’는 지난해 ‘스테이지 파이터’에서 최종 2위를 차지한 강경호가 맡았다.

bt3a0ba0c0eb52ab90f3ced942cc1da347.jpg

창작발레 '인어공주' 포스터. 사진 케이글로벌발레원

김 교수는 “이번 공연에 오를 무용수들 모두 한예종에서 성장해 온 유망한 재능들로 관객들은 그들의 신선한 에너지와 가능성을 확인하실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이어 “‘인어공주’를 비롯한 한국 창작 발레 레퍼토리를 세계 무대에 더욱 널리 알리고 싶다”라며 “동시에 제자들이 국제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든든한 발판을 마련하는 데 힘쓰겠다”라고 했다.

’인어공주’는 오는 10일부터 12일까지 관객을 만난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881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