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트럼프 1박 방한 유력…“한·중 정상 만난뒤 출국”
-
6회 연결
본문
오는 31일부터 이틀간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9일 방한해 1박2일 일정을 소화한 뒤 귀국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정부는 경주가 미·중 정상회담 무대로만 활용되는 데 그치지 않도록 막판까지 일정을 조율 중이라는 입장이다.
8일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26~27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리는 아세안 정상회의에 참석한 뒤, 27~29일 일본을 방문해 새로 선출된 총리와 정상회담을 할 예정이다. 이후 29일 오전 김해공항을 통해 입국해 경주로 이동, 이재명 대통령과 한·미 정상회담을 할 전망이다. 이어 이튿날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미·중 정상회담을 마치고 오후쯤 출국하는 일정이 유력하다.
앞서 중국은 트럼프 대통령의 베이징 방문을 추진했지만 미·중 갈등이 첨예한 상황에서 외교적 접점을 마련한 결과가 ‘경주 회담’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하지만 현재 검토되는 트럼프 대통령의 일정은 APEC 정상회의 본행사(오는 31일~11월 1일) 전에 마무리된다.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이 APEC 참석이 아닌 시 주석과의 회담을 위한 ‘원포인트 일정’으로 그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박원곤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는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방한 일정이 무박 혹은 1박2일로 확정된다면 일반적이라고 볼 수 없다”며 “미국 대통령이 한·일을 연달아 방문할 때는 통상 일정의 균형을 고려하지만, 일본에서는 2박3일 머무르는 반면, 한국에서는 APEC이 열리는데도 참석하지 않는다면 동맹 관계의 균형이 흔들렸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유무역 증진이라는 APEC의 본래 취지보다는 미·중 무역 갈등을 조정할 협상 계기 정도로 인식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전문가들 사이에선 미국 측이 APEC 방한 일정을 예상보다 짧게 잡은 것은 교착상태인 한·미 관세 협상에 압박을 가하려는 의도라는 분석도 나온다. 특히 올해 APEC은 계엄·탄핵 국면 이후 한국이 처음으로 주최하는 다자 정상회의다. 정부는 ‘국제사회 복귀’를 선언하는 상징적 외교 무대라는 점에 의의를 두고 경제협력 등 글로벌 의제를 주도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의 행사 불참은 이런 구상에 찬물을 끼얹는 격이 될 수 있다.
당초 정부는 시 주석에 대해서도 2014년 이후 11년 만의 국빈 방한을 추진했지만 이 구상도 현재 불투명해진 분위기다. 외교 소식통은 “국빈 방한이라면 이미 일정이 확정돼야 하는 게 사실”이라면서도 “다만 꼭 서울에서만 국빈 일정을 치러야 하는 것은 아니고 미·중 정상회담 일정도 여전히 유동적인 만큼 마지막까지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