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불난지 13일, 복구율 아직도 20%대

본문

정부가 추석 연휴 기간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복구의 ‘골든타임’으로 보고 대규모 인력을 투입했지만, 행정정보시스템 복구율은 여전히 더디다. 행정안전부는 8일 “오후 6시 기준 전체 시스템 647개 가운데 167개를 정상화했다”고 발표했다. 복구 비율(25.8%)은 20%대에 머무르고 있다. 대국민 민원·행정 업무에 파급 효과가 큰 1등급 시스템은 36개 중 22개(61.1%)가 복구됐다.

지난달 26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 전산실에서 화재가 발생한 이후, 정부는 13일째 수습·복구 작업을 진행 중이다. 지난 7일 오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터넷우체국 택배,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 내부 메일시스템, 중소기업벤처부 기업지원플러스 등을 복구했고, 8일 관세청 업무지원 시스템 등을 추가로 복구했다.

정부는 개천절·추석·한글날에서 주말로 이어지는 연휴 기간에 총력을 기울여 행정정보시스템을 복구 중이다. 공공기관이나 민원 서비스 이용이 상대적으로 적은 시기에 복구율을 최대한 끌어올려야, 연휴가 끝난 뒤 국민이 체감하는 불편과 행정 공백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추석 연휴 시작 전날부터 공무원 220명과 관련 사업체 인원 570명, 기술지원·분진제거 전문인력 30명 등 800여 명의 인원을 투입했다.

이처럼 대규모 인력을 투입했지만, 여전히 복구가 더딘 주된 이유로 분진 제거 작업이 꼽힌다. 시스템을 재가동하려면 화재로 전산실에 쌓인 분진부터 제거해야 한다. 장비를 분해한 뒤 분진을 제거하고 다시 장비를 일일이 조립하고 배치, 테스트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여기에 연계 운영되는 시스템도 많아 복구가 더 늦어지고 있다.

이 때문에 행정정보시스템 완전 복구에 예상보다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정부는 애초 복구에 4주 정도를 예상했다. 행안부 관계자는 “현재 복구 속도로 볼 때 10월 중 100% 완료는 쉽지 않아 보인다”고 했다.  화재로 직접 피해를 본 시스템 96개는 오는 28일 가동을 목표로 대구 센터 이전을 추진 중이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현장 상황실장인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은 8일 오후 대구 센터를 찾아가 시스템 이전 준비 상황을 점검했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국가 주요 시스템·운영시설의 안정성을 정비하고 개선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843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