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빵플레이션' 베이글 44%∙소금빵 30%대 올랐는데…제과점 울…
-
14회 연결
본문

베이글 등 빵값이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사진은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 내 베이커리에서 직원이 빵을 진열하는 모습. 뉴스1
빵값 상승을 뜻하는 ‘빵플레이션’이 현실로 나타났다. 최근 3년간 베이글 가격이 44%나 오르며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고, 판매량 상위 품목인 소금빵과 샌드위치도 각각 30%대의 상승률을 보였다.
한국신용데이터(KCD)가 발표한 ‘베이커리 시장 트렌드 리포트’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가장 많이 팔린 빵은 소금빵으로, 전체 판매의 15.7%를 차지했다. 이어 샌드위치(15.0%), 식빵(7.2%), 크루아상(5.3%), 베이글(5.2%) 순이었다.
KCD가 올해 상반기 기준 가장 많이 팔린 빵 10종의 중위가격을 분석한 결과, 베이글의 중위가격은 4400∼4900원으로 2022년 6월 대비 44% 상승했다. 샌드위치는 7500∼8300원으로 32%, 소금빵은 3300∼3700원으로 30% 올랐다. 소금빵의 경우 2022년 하반기까지만 해도 2000∼2500원대였으나 현재는 3000원 이상이 일반적인 수준이 됐다.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8월 빵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6.5%, 2022년 6월 대비 19.4% 상승했다. 이는 베이글, 샌드위치, 소금빵 등의 상승률이 평균 빵값보다 두 배 이상 높다는 뜻이다.
그러나 빵값 상승에도 불구하고 제과점과 카페 업종의 수익성은 악화하는 추세다. KCD 분석에 따르면 올해 6월 기준 ‘베이커리·제과점’의 월 평균 매출은 약 907만원으로, 최근 2년간 하락세 끝에 적자로 전환됐다. 매출보다 임대료, 재료비, 인건비 등 비용이 더 많다는 의미다. ‘다방·커피숍·카페’ 업종의 월 평균 매출은 724만원 수준으로, 순이익은 점차 줄고 있다.
한편 지난 8월 경제 유튜버 ‘슈카’가 빵플레이션에 대응한다며 소금빵과 베이글을 990원에 판매했다가 일주일 만에 중단한 사례도 있었다. 기존 빵집들이 ‘고가 판매를 한다’는 오해를 불러일으켰다는 이유에서 자영업자들의 반발이 이어졌기 때문이다.
프랜차이즈 제과점과 개인 제과점 간의 격차도 뚜렷했다. 대형 프랜차이즈는 매출지수가 높고 폐업률이 낮았으나, 개인 제과점은 매출이 상대적으로 적고 폐업률이 높게 나타났다.
이번 보고서는 KCD 캐시노트를 사용하는 전국 3만7000여 제과업장과 1만5000여 카페·제과점을 대상으로 2022년 6월부터 2025년 6월까지의 포스 및 배달앱 데이터를 분석해 작성됐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