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인기척 있으면 기다렸다 나와라"…앞집서 남긴 '황당&…
-
13회 연결
본문

지난 6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온 쪽지 사진. 사진 온라인 커뮤니티 캡처
아파트 앞집 이웃으로부터 ‘인기척이 들리면 기다렸다가 나오라’는 내용의 쪽지를 받았다는 주민의 사연을 두고 갑론을박이 벌어졌다.
지난 6일 여러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앞집에서 받았다는 어이상실 쪽지’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글에는 한 주민이 앞집에게 받은 쪽지 사진이 담겼다. 쪽지에는 “앞집 문 열리는 소리가 들리거나 인기척이 있으면 조금 기다렸다가 나와주세요. 이 정도는 서로 지켜야 할 암묵적인 룰이라고 생각합니다”라고 적혀 있다.
이를 본 네티즌 대부분은 황당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해당 글에는 “저 정도로 예민하면 공동주택에 살면 안 된다”, “마주치기 싫으면 본인이 기다렸다가 나가야 한다”, “혼자만의 규칙을 만들어서 왜 남에게 강요하냐” 등의 댓글이 달렸다.
반면 “이웃을 마주치기 싫어하는 사람들도 있다” “앞집 사람과 동시에 맞닥뜨리는 상황이 불편할 수도 있다” 등 쪽지 작성자의 심정을 이해한다는 내용도 일부 있었다.
한편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현대인들은 이웃 간 유대감이 전반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조사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전국 만 19~59세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2025 이웃 지역사회 관련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78.9%가 동네 이웃과 인사 이상의 깊은 교류는 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또 한국 사회에서 ‘이웃사촌’의 의미는 유효하지 않다는 응답은 55.9%였으며 ‘이웃과 교류를 하지 않아도 딱히 불편한 일이 없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46.2%였다.
다만 이웃과의 교류가 점차 사라지고 있음에도 10명 중 6명은 이웃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웃과 좋은 관계를 맺는 거 중요한 가치다’라고 답한 비율은 60.4%였으며 51.4%는 ‘향후 이웃과 교류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이웃과 교류를 원하는 이유(중복응답)로는 ‘교류를 통해 서로 많이 배려할 수 있을 것 같다’는 비율이 53.9%였으며 ‘알아 두면 언젠가 도움을 받는 일이 있을 것 같다’는 비율은 38.3%로 조사됐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