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잠실보다 비싼 동작구 신축…84㎡가 22억, 그래도 팔린다

본문

btd877c0f191c68f02f1daef3456a2baf6.jpg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아파트단지 모습. 뉴스1

서울 아파트값이 급등하며 수도권 주요 지역의 아파트 분양가격도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하지만 대출 규제와 고분양가 논란에도 주요 지역은 ‘완판’ 행렬을 이어가고 있다. 주택 공급 부족, 규제 강화 등에 대한 불안 심리가 작동하며 초과 수요가 몰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9일 분양업계에 따르면 다음 주 15일 1순위 청약에 나서는 서울 동작구 사당동 ‘힐스테이트 이수역센트럴’은 분양가격이 시세보다 비싸게 나와 고분양가 지적이 나오고 있다. 모집공고에 따르면 전용면적 84㎡ 분양가격이 21억~22억원대로 나왔고, 74㎡가 19억원대, 59㎡는 17억원대다. 인근 준공 8년차 아파트인 ‘래미안 로이파크’ 84㎡가 최근 20억6000만원에 거래된 것과 비교하면 1억~2억 비싸게 나왔다. 통상 분양가격이 시세 대비 10~20% 저렴하거나 비슷하게 책정되는 전례와 비교하면 이례적이다.

bt75fb48c10c4bd5b13007c0c405ab6140.jpg

박경민 기자

특히 74㎡ 분양가격은 지난달 송파구에서 분양한 ‘잠실 르엘’보다 비싸다. 잠실 르엘 74㎡ 분양가는 18억6000만~7000만원대였다. 실수요자 사이에선 “어떻게 한 달 사이에 동작구 아파트가 송파구보다 비싸질 수 있느냐”는 자조가 나온다. 또 1년 전 분양했던 서초구 ‘디에이치 방배’ 84㎡ 분양가가 22억원대였던 것을 고려하면, 비규제지역인 동작구 신축 아파트 ‘국민평형’ 분양가격이 1년 만에 강남권에 다다른 셈이다.

우선 이 같은 역전 현상은 분양가 상한제 적용 유무가 갈랐다는 지적이다. 강남 3구·용산구는 분양가 상한제 지역으로 해당 지자체에서 분양가 심사를 받는 등 말 그대로 분양가 상한선 내에서 분양가가 책정된다. 이에 반해 비규제지역은 분양가 상제가 적용되지 않아 조합이 시세와 공사비, 마진 등을 감안해 시공사와 협의해 분양가격을 자율적으로 책정하고 있다. 한 분양업계 관계자는 “서울 아파트값이 계속 오르는 상황에서 선호지역은 수요가 충분히 받쳐주기 때문에 조합이 공사비, 사업비용 등을 분양가격에 여유 있게 반영하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실제 ‘힐스테이트 이수역센트럴’도 고분양가에도 시장에선 무난히 완판될 것으로 예상한다. 윤지해 부동산R114 리서치팀장은 “분양가가 비싼데도 수요자들은 공급 부족으로 집값이 더 비싸질 거라고 보고 있다”며 “최근 서울 아파트값 급등세, 앞으로 신축 아파트에 대한 희소성 등으로 1순위 마감은 무난하게 이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앞서 경기도 광명시에서 분양한 ‘철산역 자이’도 국평 분양가가 1년 전보다 3억원가량 뛴 15억원대로 나왔지만, 313가구 일반분양에 1만1880명이 몰리며 1순위에서 전 평형이 마감됐다. 경기도 과천시 ‘디에이치 아델스타’도 84㎡가 24억원대로 나왔지만 모두 완판됐다.

멀어지는 서민들의 '내 집 마련' 

문제는 고분양가 속에 대출 규제까지 겹치며 실수요자의 ‘내 집 마련’은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는 점이다. HUG에 따르면 서울 민간 아파트 평균 분양가격은 지난 8월 말 3.3㎡(평)당 4648만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8.6% 뛰었고, 경기도 평균 분양가격도 2241만원으로 5.0% 올랐다. 여기에 대출 규제로 22억원짜리 집을 분양 받으려면 최소 16억원의 현금을 확보해야 한다.

bta41a63aa9245f47e0fd30dd765f97e70.jpg

박경민 기자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작년보다 낮아진 금리, 규제 강화와 공급 불안감 등이 맞물리며 유동성이 자산시장으로 쏠리고 있다”고 짚었다. 그는 “대출을 조이고 분양가격이 올라도 자금력 있는 수요가 이를 받아내고 있다. 반면 서민들의 내 집 마련은 갈수록 힘들어지고 있다”며 “정부가 시장의 불안 심리를 서둘러 진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811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