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국정자원 피해 시스템, 647개 아닌 709개였다

본문

bt8723ff1039f57530f5b9b4a6c1843bdc.jpg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하 국정자원) 대전 본원 화재로 멈춘 전체 정부 업무 및 민원서비스 시스템이 647개가 아닌 709개로 확인됐다. 화재가 발생한 지 2주 동안 정부가 기본적인 현황 파악조차 제대로 하지 못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온다.

윤호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행정안전부 장관)은 9일 중대본 회의에서 “(국정자원 대전 본원) 내부 통합운영관리시스템인 엔탑스(nTOPS) 복구로 전체 장애 시스템 수가 (647개가 아닌) 709개라는 것을 확인했다”며 “전체 시스템 목록을 정정해 공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우체국금융, 공직자통합메일 등 일부 시스템을 기능별로 세분화하니 전체 시스템 수가 62개 증가했다는 게 중대본의 설명이다.

공직자통합메일의 경우 백업과 수·발신시스템 등 5개가 늘어났다. 이에 중요도 등에 따라 나눠 놓은 등급별 시스템 수도 1등급 40개를 비롯해 2등급 68개, 3등급 261개, 4등급 340개로 수정됐다. 기존 229개로 파악한 4등급 개수가 눈에 띄게 달라졌다.

하지만 전체 시스템 개수가 ‘고무줄’처럼 늘어나자 정부 대처에 대한 비판이 나온다. 이상대 코리아재난안전연구소 박사는 “정부는 화재가 난 지 14일 만에야 장애 시스템을 709개로 파악했다”며 “재난 안전에서 가장 기본적인 현황 파악조차 제대로 하지 못한 것”이라고 했다.

김민재(사진) 중대본 제1차장(행정안전부 차관)은 이날 중대본 브리핑에서 “국정자원의 관제 시스템에 등록된 웹사이트 기준과 운영 직원들의 자체 자료, 기억에 의존해 647개 리스트를 관리해 왔다”고 설명했다. 김 차장은 “엔탑스가 복구된 만큼 (앞으로는) 변경이 없도록 하겠다”며 “혼선을 드린 점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관공서가 문을 닫은 이번 추석 연휴를 복구의 ‘골든타임’으로 봤지만 복구율은 여전히 20%대다. 이날 오후 6시 기준 복구율은 27.8%다. ‘먹통’ 시스템 709개 중 197개 시스템을 정상화했다. 국민생활과 밀접한 1등급 시스템은 40개 가운데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KRAS·홈페이지 제외) 등 27개(67.5%)가 복구됐다.

정부는 직간접 화재 피해가 발생한 대전 본원 5층의 7-1, 7전산실 시스템을 당초 국정자원 대구센터로 이전을 검토했지만, 대전 본원 내 다른 공간 등을 활용해 신속한 복구가 가능할 경우 이전하지 않기로 했다. 예를 들어 7-1전산실에 있던 e하늘장사정보시스템 등을 본원 4층의 6전산실로 옮기는 방식이다.

이재용 국정자원장은 “시스템별로 복구 일정이 다르다”며 “대전 본원에 재구축하는 게 더 빠르다고 판단되는 시스템들은 대전에 남겨두고 (그렇지 않은 시스템은) 대구로 이전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782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