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두나무-네이버 결합…글로벌 빅테크와 정면승부 포석

본문

btd242ba71b3fa1e04ac1a82a08a1aec14.jpg

IT(정보통신) 업계에 충격을 던진 두나무와 네이버파이낸셜의 결합을 두고 다양한 전망이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이 꼽는 이번 빅딜의 핵심 키워드는 두 가지다. ‘한국판 코인베이스+페이팔’ 모델과 ‘AI(인공지능) 융합 전략’이다. 업계는 이번 거래가 한국 디지털 금융 산업의 체급을 키워 글로벌 빅테크와 정면으로 맞붙기 위한 포석이 될 것으로 해석한다.

한국판 코인베이스+페이팔...글로벌 빅테크와 정면승부

시장에서는 우선 이번 결합을 ‘한국판 코인베이스+페이팔’ 모델로 평가한다. 코인베이스는 글로벌 3대 가상자산 거래소로, 2021년 미국 나스닥에 상장하며 업계 최초로 증시에 진입했다. 페이팔은 200여 개국에서 4억 명이 넘는 사용자를 보유한 세계 최대 온라인 결제 기업이다. 즉, 코인베이스와 페이팔은 각각 크립토 거래와 디지털 결제 분야의 글로벌 선도자이자 레퍼런스로 꼽힌다.

이 구도를 한국에 대입해보면 두나무는 국내 1위이자 글로벌 4위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며 디지털 자산 시장의 중심에 서 있고, 네이버파이낸셜은 연간 80조 원 규모를 처리하는 네이버페이로 온라인 결제 생태계를 주도한다. 한 IT 전문가는 “업비트와 네이버페이는 이미 기술력과 노하우를 충분히 갖췄지만, 글로벌 빅테크와 맞설 기회는 부족했다”며 “이번 결합은 한국이 단순한 추격자를 넘어 전세계 시장에서 새로운 질서를 만드는 전환점”이라고 평가했다.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애플 등 글로벌 빅테크가 AI·핀테크·결제 시장에 공격적으로 진출하는 상황에서, 이번 결합이 갖는 전략적 의미는 더욱 커진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국내 기업이 글로벌 빅테크와 대등하게 경쟁할 수 있는 규모로 성장한다는 데 상징성이 크다”라고 말했다.

장기적 승부수는 ‘AI’…융합은 더 이상 선택 아닌 필수

전문가들은 장기적으로 이번 결합의 진짜 승부수는 AI에 있다고 본다. 생성형 AI가 급부상한 상황에서 금융·투자·결제 전 영역에 AI 도입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니라 필연이라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AI-크립토 결합 서비스를 현실화할 경우 맞춤형 투자 자문, 자동 리스크 관리, 이상 거래 탐지, 개인화된 자산관리 등 혁신 서비스가 나오는 그림도 상상할 수 있다.

실제 오경석 두나무 대표는 지난 6월 주주총회에서 ‘AI’를 미래 핵심 키워드로 꼽은 바 있다. 그는 “AI는 위협이 아닌 기회”라며 “고객 응대 자동화, 자산관리 고도화 등 플랫폼 혁신을 통해 업비트를 지능형 디지털 자산 플랫폼으로 진화시키겠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흐름은 네이버도 다르지 않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2024년 4분기 및 연간 실적 발표에서 “2025년은 네이버의 온서비스 AI 전략을 본격적으로 구현하는 중요한 시기”라며 “AI 기술을 고도화해 다양한 프로덕트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고, 새로운 가치와 사업 기회를 창출하는 데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실제로 네이버는 자체 거대언어모델(LLM) ‘하이퍼클로바X’를 기반으로 검색·커머스·콘텐츠 전반에 AI를 접목하며 국내 최대 규모의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네이버의 AI 기술력과 전자상거래·콘텐츠 생태계, 두나무의 디지털 자산 운용 경험이 결합하면 세계적으로도 드문 통합 디지털 금융 인프라가 구축될 수 있다.

조태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번 딜을 “최고의 윈윈 전략”이라며 “향후 ‘글로벌 최대 디지털 금융 인프라’라는 내러티브가 자리 잡는다면, 미국 나스닥에서 최소 40조~50조원 수준의 기업 가치를 예상해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산업 지형을 뒤흔드는 메가딜

이번 결합은 단순한 합병 효과를 넘어 한국 테크·크립토 산업 전반의 재평가를 촉발하는 분기점으로 꼽힌다. 업계 관계자는 “삼성 반도체가 한국 제조업의 아이콘이었다면, 두나무-네이버파이낸셜은 한국 디지털 금융·AI 산업의 새로운 대표 주자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번 빅딜은 민간 주도의 선제적 시도로, 한국 금융 산업이 글로벌 빅테크와 맞설 수 있는 새로운 경쟁 구도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전략적 의미가 크다.

한편, 양사는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놓고 논의 중이나 확정된 사안은 없다”며 신중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실제 거래 성사를 위해서는 금융당국 승인, 이사회 및 주주총회 의결 등 절차적 과제가 남아 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811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