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한일 학생들 소원 8년 만에 실현..윤동주 80년 만에 릿쿄대 돌아와

본문

가을비가 내린 지난 11일 시인 윤동주(1917~1945)의 기념비 제막식이 도쿄 릿쿄대 캠퍼스에서 열렸다.

btaa12b4ef72d424161df05674b6b13b07.jpg

지난 11일 일본 도쿄 릿쿄대에서 시인 윤동주 기념비 제막식이 열리면서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이혁 주일대사, 윤동주 시인 조카인 윤인석 성균관대 명예교수, 윤동섭 연세대 총장, 고하라 가쓰히로 도시샤대 학장, 니시하라 렌타 릿쿄대 총장.오누키 도모코 특파원

윤동주는 1942년 4월부터 12월까지 약 8개월간 릿쿄대에 유학하며 ‘쉽게 씌어진 시’ 등 다섯 편의 시를 남겼다. 평화를 염원한 그의 시에 감동한 릿쿄대 학생들은 ‘위대한 선배의 발자취를 남기고 싶다’며 8년 전 처음 뜻을 모았고, 서거 80주년을 맞아 기념비가 세워졌다.

학생들이 윤동주를 처음 알게 된 것은 릿쿄대 이문화커뮤니케이션학부 이향진 교수의 수업을 통해서였다. 이 교수는 2013년부터 일본·한국·중국 등 동아시아 영화를 매개로 한·일 관계와 이문화 이해를 가르쳐왔다. 윤동주가 일본 유학 전 다녔던 현 연세대의 후배이기도 한 그는, 윤동주의 시와 인간상을 학생들에게 알렸다.

bt1d0bf7381d42d418cee9ce67be357dc8.jpg

지난 11일 일본 도쿄 릿쿄대에서 시인 윤동주 기념비가 세워졌다. 제막식에 앞서 열린 기념 심포지엄에서 대담화는 이향진 릿쿄대 교수(오른쪽)와 공지영 작가.오누키 도모코 특파원

기념비 건립 움직임이 본격화한 것은 윤동주 탄생 100주년을 맞은 2017년이었다. 당시 재학 중이던 졸업생 야마다 미야코(山田都子) 씨는 “당초 윤동주에 대해 아는 학생이 아무도 없었다”고 회상했다. 그러나 수업을 들으며 자연스럽게 “도시샤대에는 윤동주 시비가 있는데 왜 릿쿄대에는 없을까”라는 의문이 제기됐다고 한다.

윤동주는 릿쿄대를 거쳐 교토의 도시샤대로 편입했다. 그는 도시샤대 재학중이던 1943년 조선 독립을 논의하는 유학생 단체 활동을 했다는 혐으로 일본 경찰에 체포됐고,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1945년 2월16일 옥사했다. 도시샤대는 윤동주 서거 50년이던 1995년 기념비를 세웠다.

릿쿄대 재학생들은 2017년 윤동주를 주제로 대규모 심포지엄을 열고 기념비 건립을 위한 모금 활동을 시작했다. 모금된 약 70만 엔은 이후 후배들에게 이어지며 관리됐다. 코로나19와 한·일관계 악화 등의 악재도 있었지만, 릿쿄대측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결실을 맺게 됐다.

bt5eb71612f0972281a8b8e645b3ad78c8.jpg

지난 11일 일본 도쿄 릿쿄대에 세워진 윤동주 기념비. 오누키 도모코 특파원

제막식에 앞서 열린 기념 심포지엄에서 졸업생 아다치 히로키(足達洋樹) 씨는 윤동주의 매력에 대해 “일본이 군국주의로 치닫던 시절, 조선의 학생들은 민족독립운동이나 사회주의 운동에 참여하는 등 역사의 소용돌이에 휘말릴 수밖에 없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윤동주가 거대한 역사적 흐름에 거리를 두고 시 창작을 계속한 점이 감동적이었다”며 “세계적으로 포퓰리즘이 확산되는 지금, 윤동주를 기리는 시비가 세워진 것은 매우 뜻깊다. 릿쿄대 학생들이 윤동주를 알게 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했다.

윤동주가 일본 유학 중 남긴 시 가운데 원본이 남아 있는 것은 릿쿄대의 상징인 백합 문양이 새겨진 편지지에 쓰인 다섯 편뿐이다. 이는 현재 연세대 윤동주기념관에 보관돼 있으며, 복사본이 릿쿄대 전시관에 전시 중이다.

릿쿄대 기념비에는 ‘쉽게 씌어진 시’ 복사본이 새겨졌고, 일본어 번역문도 함께 각인됐다. 제막식에서는 릿쿄대 4학년 구도 유키노(工藤志乃) 씨가 일본어로, 전지민 씨가 한국어로 시를 낭독했다. 기념비가 세워진 다치카와(太刀川)기념관 주변은 윤동주가 재학 시절 자주 거닐던 길로 전해진다.

bt21db6550424e8a0f3950981a8c92fc7e.jpg

지난 11일 일본 도쿄 릿쿄대에서 열린 시인 윤동주 기념비 제막식에서 '쉽게 씌어진 시'를 낭독한 릿쿄대 전지민 학생(왼쪽)과 구도 유키노 학생. 오누키 도모코 특파원

릿쿄대 니시하라 렌타(西原廉太) 총장은 “80년의 세월을 넘어 시인 윤동주가 릿쿄대 캠퍼스로 돌아왔다”며 “연세·릿쿄·도시샤 세 대학은 윤동주가 재학했던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 생명과 평화, 정의, 역사를 배우고 논의할 수 있는 젊은이를 길러낼 책임이 우리에게 있다”고 말했다. 그는 세 대학이 연대해 윤동주의 뜻을 젊은 세대에 전하겠다고 밝혔다.

윤동주의 조카 윤인석 성균관대 명예교수는 “이 비석에 새겨진 시와 안내문을 읽는 모든 분들이 큰아버지의 뜻과 시비를 세운 분들의 염원을 함께 느끼시길 바란다”며 “맑고 평화로운 세상을 만드는 출발점이 되어 젊은 세대에게 잘 전해지기를 기도한다”고 말했다.

bta569749c1473648d7134e27492c730ad.jpg

지난 11일 일본 도쿄 릿쿄대에서 시인 윤동주 기념비 제막식이 열렸다. 왼쪽부터 이혁 주일대사, 윤동섭 연세대 총장, 윤동주 조카인 윤인석 성균관대 명예교수, 니시하라 렌타 릿쿄대 총장. 오누키 도모코 특파원

이날 제막식에는 윤동섭 연세대 총장, 고하라 가쓰히로(小原克博)도시샤대 학장, 이혁 주일대사 등 약 100명이 참석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916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