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읽기란 무엇일까, 소설이란 무엇인가”...『절창』 이 품은 구병모의 질문

본문

bt9b8fcaad3e283ea1d2c88d4ffc4b05c3.jpg

구병모 작가의 신간 『절창』은 출간 한 달 전 출판사 북클럽에서 모집한 300명의 서평단에게 먼저 읽혔다. 그때부터 출간되기까지 입소문을 타며 출간 직후 베스트셀러에 올랐다. 사진 본인 제공

모든 문학작품은 오독(誤讀, 잘못 읽음)을 전제한다. 작가와 독자는 다른 삶을 살아온 타인이기 때문에, 같은 글자를 놓고도 다른 해석을 할 수밖에 없다. 만약 타인의 마음을 책처럼 읽을 수 있다면 어떨까. 이 과정에도 오독이 따라오게 될까.

지난달 17일 출간된 구병모 작가의 신작 장편소설 『절창』(문학동네)은 이런 생각을 한 편의 서사로 녹여낸 작품이다. 타인의 상처에 손을 대면 마음을 읽어낼 수 있는 여자와 범죄 조직에 연루된 사업가 ‘문오언’이 주인공. 둘이 함께 사는 집에 입주 독서교사가 발을 들이며 벌어지는 일들을 그렸다.

bt26fd76efdd9f98a937b79a9c024c4e19.jpg

『절창』의 표지. 사진 문학동네

구병모는 16년 차 소설가다. 죽음의 문턱에서 아가미를 갖게 된 소년의 이야기를 그려낸 소설 『아가미』(2011), 60대 여성 킬러의 이야기를 그린 소설로 올해 동명의 영화로도 만들어진 『파과』(2013) 등 몰입도 높은 소설을 써 왔다. 이번 책 역시 출간 즉시 종합·소설 베스트셀러 상위권에 올랐고, 약 한 달 간 상위권을 지키며 인기를 입증했다. 만연체에 가까워 ‘읽기 어렵다’고 인식되어 온 작가의 전작에 비해 속도감있게 읽힌다.

지난달 28일 서면으로 만난 작가는 “데뷔작 『위저드 베이커리』(2009) 이후로 열띤 반응이 오랜만이라 놀랐다”며 “『절창』은 수년 전 남겨뒀던 ‘상처를 읽는 사람’이라는 메모로부터 시작한 소설”이라고 소개했다. “악수만 해도 사람들의 마음을 읽고 정보를 얻어내는 ‘사이코메트리’(Psychometry) 장르는 기존의 클리셰인데, 그 능력이 나쁜 일에 쓰인다면 어떨지 상상했다. 거기에 평소 염두에 두었던, 타인을 대할 때 그리고 한 권의 책을 읽을 때 필연적으로 감당해야 하는 오독의 문제를 접목하는 과정을 거쳤다.”

작품에 ‘아가씨’로만 언급되는 이름 모를 여자는 어릴 때부터 보육원에서 살아온 인물이다. 그는 어느 날 보육원 친구의 상처에 손을 대며 타인의 마음을 읽을 수 있는 자신의 능력을 확인한다. 보육원 후원자이자 사업가인 문오언이 그 능력을 발견하고, 여자를 자신의 집에 데려간다. 문오언은 여자를 극진히 대하면서도 상대 범죄조직이 감추고 있는 비밀을 읽어내는 데에 여자를 이용한다.

bt1abd899e21843b9fd29e09d916a275b5.jpg

작가는 악인으로 등장하는 문오언에게 마이크조차 쥐여주지 않았다. 그는 "이 역시 내용보다 서술 형식이 중요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사진 본인 제공

책에 『절창』이란 제목을 붙인 것도 여자의 능력 때문이다. 작가는 “함축적이면서도 기억에 강하게 남는 상처는 뭐가 있을까하고 사전을 찾아봤다”며 “화상, 동상, 열상, 자상, 창상, 교상 등을 지나 최종적으로 발견한 낱말이 절창(切創·예리한 날에 베인 상처)이었다”고 했다. 출판사에선 ‘다시는 부를 수 없는 뛰어난 노래’를 뜻하는 단어 절창(絕唱)과 혼동할까 걱정했지만, 작가는 “파과(破瓜)라는, 평소 일상적으로 쓰이지 않는 한자어의 의미를 널리 각인시키는 데 이미 한 번 성공한 적 있고, 『절창』도 그럴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작가는 “『절창』은 서술 형식이 중요한 소설”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 책을 ‘상처 읽는 여자와 그녀를 곁에 두는 남자의 이야기’로 뭉뚱그려 요약할 수도 있겠지만, 어떤 형식과 문체로 서술하느냐가 소설의 특성을 결정짓는다”고 말했다. 작품은 독서교사와 ‘아가씨’의 시점을 교차하며 전개된다. 아가씨의 과거사는 독서교사의 시점에서 소개되고, 아가씨는 자신의 시점에서 문오언과의 관계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누락되는 인물의 서사가 발생한다. 독자들이 인물을 해석할 여지를 남겨둔 것이다.

작가는 계속해서 ‘읽기’란 무엇인지 질문한다. 독서교사는 아가씨에게 들은 보육원 보호 종료 이후의 과거사를 소상히 전하다가, “그것은 아가씨의 경험이고, 아가씨만의 이야기”라며 돌연 서술을 멈춘다. 또한 문오언에게만은 ‘마음 읽기’ 능력을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한 여자와, 자신을 한 번만 읽어 달라고 간절히 부탁하는 문오언의 서사를 통해 ‘읽기’를 애정과 신뢰의 행위로 비유한다.

구병모 작가는 “독서교사가 간간이 하는 말 속에, 그가 보여주는 주관과 판단 속에 내가 오랫동안 고민해온 문제가 들어 있다”며 “표면적으로는 대부분 책 읽기에 대한 고민으로 보이는데, 결국 인간 읽기, 인간을 대하는 자신의 마음에 대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btc295d7fc1d123b4da4d1712c172f9be2.jpg

작가는 "에세이집이나 희곡 제안도 꾸준히 받고 있지만 아직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사진 본인 제공

이토록 ‘읽기’를 치열하게 고민한 작가에게 소설이란 무엇일까. 구병모 작가는 “소설이란 무엇인지 알고 싶은 마음이 내가 계속 글을 쓰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인간이 타인을 이해한다는 것도 착각이거나 환상일 수 있다. (소설 쓰기는) 타인을 오독하면서도 언젠가는 올바로 읽어내리라는 기대를 버리지 않으면서, 읽는 행위를 그만두지 않는 것과도 같다”고 전했다.

작가는 또 “16년 안팎의 시간 동안 조금의 공백기도 없이 많이 쓰고 펴냈다”며 두 소설 『절창』과『상아의 문으로』(2021)를 오가며 소설이란 장르를 탐색한 과정을 설명했다. 『상아의 문으로』는 구병모 작가의 소설 중 서사성이 가장 약한 작품. 사유에 가까운 문장으로 엮여있다. “『상아의 문으로』를 쓰며 나라는 작가에게 으레 기대할법한 흥미진진한 스토리, 매력적인 캐릭터, 독특한 설정이나 소재 등을 모두 전복하고 사유만 남겨두는 작업도 해봤다. 『절창』은 그 작품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소설이다. 이처럼 (다양한 시도를 통해) 소설의 요소와 본질은 무엇인지 끊임없이 자문하며, 질문을 계속해 나갈 예정이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916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