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제2의 고향’ 일본서 펄펄…쇼플리, 10승 달성
-
3회 연결
본문

일본에서 열린 PGA투어 베이커런트 클래식에서 우승한 미국의 잰더 쇼플리(가운데)가 부모와 트로피를 들고 기뻐했다. 그의 어머니는 대만계로 어릴 때 일본에서 자란 인연이 있다. [AP=연합뉴스]
잰더 쇼플리(32·미국)가 가을 사나이로 우뚝 섰다.
쇼플리는 12일 일본 요코하마 컨트리클럽(파71·7315야드)에서 열린 미국프로골프(PGA) 투어 가을시리즈 베이커런트 클래식(총상금 800만 달러) 최종 4라운드에서 버디 8개와 보기 1개를 묶어 7언더파를 쳤다. 최종합계 19언더파의 쇼플리는 맥스 그레이서먼(30·미국)을 1타 차로 제치고 정상에 올랐다. 이번 대회 출전 선수 중 최고 랭킹(세계 4위)인 쇼플리는 PGA 투어 통산 200번째 출전 대회에서 10번째 우승을 달성하고 환호했다. 지난해 메이저대회인 PGA 챔피언십과 디오픈 챔피언십을 제패한 이후 1년 3개월 만의 우승이다.
3라운드까지 공동 선두였던 그레이서먼과 최종 라운드에서도 중반까지 접전을 이어간 쇼플리는 14번 홀(파4)에서 7m 버디 퍼트를 홀컵에 떨구며 단독 선두로 올라섰다. 이어 17번 홀(파4)에서 한 타를 더 줄여 격차를 2타로 벌렸다. 그레이서먼이 마지막 18번 홀(파4)을 버디로 마무리했지만, 같은 홀을 파 세이브한 쇼플리를 따라잡지 못했다.
쇼플리에게 대회가 열린 일본은 ‘제2의 고향’ 격이다. 쇼플리는 독일계 아버지와 대만계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는데, 어머니가 일본에서 성장해 일본 음식·문화·가치관 등에 익숙하다. 부인인 마야의 어머니도 일본인이다. 금메달을 딴 지난 2021년 도쿄올림픽 때처럼 이번 대회에도 도쿄에 사는 쇼플리의 일본인 외조부모가 경기장을 찾아 손자와 우승의 기쁨을 함께했다. 쇼플리의 경우 골프 선수 출신인 부친에게 골프 유전자와 승부 근성을 물려받았다면, 낙천적인 성격과 열린 마음은 다양한 문화를 접했던 성장 과정에서 찾을 수 있다. 톱랭커 대부분이 가을 시리즈 기간 휴식하는 것과 달리, 쇼플리는 지난해 조조 챔피언십(베이커런트 클래식의 전신) 등 일본에서 열리는 대회에 꾸준히 참가했는데, 외가 쪽 친지들과의 교류를 이어가기 위해서다.
안병훈(34)은 최종합계 14언더파를 적어내 올해 자신의 최고 순위인 공동 4위로 대회를 마무리했다. 우승자 쇼플리와는 5타 차다. PGA 투어에서 우승 이력이 없는 안병훈은 지난 3월 아널드 파머 인비테이셔널(공동 8위)과 6월 캐나다 오픈(공동 6위)에 이어 올해 세 번째로 톱10에 들었다. 이번 대회 직전 78위였던 안병훈의 페덱스컵 포인트 랭킹은 71위까지 올랐다. 다음 달까지 열리는 가을 시리즈에서 순위를 70위 이내로 끌어올리면 2026시즌 초반 2개의 시그니처 대회(4대 메이저 대회와 플레이어스 챔피언십을 제외한 특급 대회) 출전 자격을 얻는다.

홍정민
한편,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 투어 신생 대회인 K-푸드 놀부·화미 마스터즈(총상금 12억원)에서는 홍정민(23)이 ‘와이어 투 와이어’(전 라운드 선두 유지) 우승을 달성했다. 이날 용인 88컨트리클럽(파72·6748야드)에서 열린 최종 3라운드에서 버디 4개와 보기 1개를 묶어 3언더파를 기록해, 최종합계 12언더파로 서교림(19)에 1타 앞섰다. 홍정민은 다승 공동선두(3승)로 뛰어올랐고, 우승 상금 2억1600만원을 추가하며 상금 랭킹도 8주 만에 선두(12억9401만6667원)를 탈환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