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단독]반경 1km내 메가커피 8곳…본사만 돈 벌고 가맹점 비명

본문

bt7a3ca128ee3001a935d0b6fe2963b4f8.jpg

신재민 기자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역 인근에는 커피 매장 수십 개가 몰려 있다. 그중에서도 저가 커피 브랜드 1위인 메가MGC커피의 경우 여의도역 반경 1㎞(직선거리 기준) 이내에만 8곳의 매장을 두고 있다. 13일 오후 이들 매장 중 한 곳에서 만난 직장인 신모(27)씨는 “회사 인근 저가 커피 프랜차이즈 매장을 자주 찾는다”며 “여의도는 밥값이 상대적으로 비싸다보니, 프랜차이즈 커피 매장도 더 많은 것 같다”고 말했다. 메가MGC커피는 2020년 이후 5년 새 전국 프랜차이즈(가맹) 점포가 181% 늘었고, 지난해 커피 브랜드 중 가맹점 수(3325곳)가 가장 많다.

최근 5년간 커피 프랜차이즈 가맹점이 급증하면서 본사의 매출·영업이익은 각각 131%, 140%씩 늘었지만, 가맹점의 평당 매출 상승률은 평균 1.5%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가맹점들이 신규 점포와 치열하게 경쟁하는 사이, 본사만 수익성을 확대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bt7d42519ca760e727d77207534f558e27.jpg

신재민 기자

13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허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 가맹점 수 상위 10개 커피 브랜드의 전체 가맹점 수는 2020년 7914개에서 지난해 1만5692개로 거의 2배(증가율 98%) 증가했다. 전국에 3325개 매장을 둔 메가MGC커피가 가맹점 수 1위를 기록했고, 컴포즈커피(2649개)가 뒤를 이었다. 증가세가 가장 빠른 곳은 텐퍼센트 스페셜티커피로 최근 5년간 약 6.5배(2020년 126개→2024년 814개) 늘었다.

점포가 늘자 본사 매출도 급증했다. 브랜드 10곳의 본사 매출은 평균 892억원(2020년)에서 2062억원(2024년)으로 5년 새 131% 늘었다. 영업이익도 평균 102억원에서 245억원으로 140% 뛰었다. 본사가 거둔 가맹비·교육비·물품 공급 이익(로열티) 등 ‘가맹 관련 수익’ 평균은 2020년 1억684만원에서 지난해 1억1804만원으로 10.5% 증가했다.

btd2604c507ddf2b622c211283b095b2fb.jpg

신재민 기자

반면 개별 가맹점 매출은 찔끔 올랐다. 2020년 1499만원이던 커피 가맹점 평당 매출 평균은 지난해 1522만원으로 1.5% 증가하는 데 그쳤다. 직전 해인 2023년(1650만원)과 비교하면 오히려 7.8%가량 감소했다. 불황 등으로 커피 가맹점들의 수익성이 떨어진 것이다. 실제로 가맹점의 평균 폐업률은 5년 전 2.4%에서 지난해 4.6%로 두 배가량 늘었다. 최근 5년간 폐업률이 가장 높은 커피 프랜차이즈 브랜드는 이디야커피로, 2020년 2.7%에서 지난해 12.6%로 치솟았다.

bt7a6254a499654ddebbe34088466e36c2.jpg

신재민 기자

외식사업가 백종원씨가 론칭한 빽다방은 지난 2022년부터 가맹비를 받지 않고 있지만, 지난해 가맹점 평당 매출은 2020년보다 약 200만원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가맹점 수는 약 2.5배(721개→1712개), 본사 매출액은 3.3배(1347억원→4418억원) 늘었다.

커피 프랜차이즈 본사가 공격적인 출점 전략으로 이익을 늘린 사이, 가맹점주가 감당해야할 ‘리스크’는 더 커졌다. 부산에서 투썸플레이스 가맹점을 8년째 운영 중인 이미영(45)씨는 몇 년 전1㎞거리에 같은 브랜드 ‘경쟁 점포’가 생기면서 월 매출이 20%가량 줄었다. 이씨는 “본사에 항의했더니 ‘본사가 정한 보호 영업권 밖’이라고만 설명하더라”며 “인건비는 매년 오르고 가맹비·물품비도 꽤 큰데, 브랜드 커피 출점 경쟁이 심해져서 힘들다”라고 말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2012년 ‘모범거래기준’을 두고 동일한 커피 프랜차이즈 브랜드의 신규 가맹점 출점 제한 거리를 500m로 제한했다. 그러나 2014년 해당 기준을 폐지한 후 현재는 커피 가맹 본사마다 기준이 제각각이다.

bta46d2ada976aa9f1ca3df8c3349443c8.jpg

13일 오후 1시 30분쯤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역 인근에 위치한 메가MGC커피 매장 앞 키오스크에서 손님들이 음료를 주문하고 있다. 노유림 기자

각 사에 따르면 메가MGC커피는 기존 점포로부터 250m, 컴포즈커피는 150m의 거리 제한을 두고 있다. 이디야커피나 투썸플레이스도 내부적으로 ‘영업권’ 기준을 마련해 출점한다고 밝혔다. 편의점업계가 2018년 자율규약으로 50~100m 내 신규 출점을 제한하고 있는 것과 차이가 있다.

허 의원은 “출점 거리 제한 규제가 폐지된 후 가맹점 간 간격이 좁아지며 생긴 ‘출점 경쟁형 구조’가 각 매장의 매출을 잠식하고 있다”며 “업계는 본사와 가맹점 간 상생을 위해 단기 출점 경쟁을 멈추고 상권 포화도·거리 제한을 반영한 자율 규제 기준을 즉각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828 건 - 1 페이지